학술논문
두 탈북 고등학생의 남북한 수학수업 경험에 대한 인터뷰 분석
이용수 9
- 영문명
- The analysis of interviews with two high school students from North Korea, focusing on their experiences of mathematics lessons in North and South Korea
- 발행기관
- 한국학교수학회
- 저자명
- 이기돈 이지현
- 간행물 정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제19권 제2호, 197~21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남한에서 학습하는 탈북학생들의 낮은 학업성취도가 보고되면서 이 학생들의 학습지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으로 통일시대의 준비라는 관점에서 북한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탈북학생들의 수학학습 지원에 대한 연구는 주로 인터뷰를 통해 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북한의 수학교육 연구는 교과서 분석을 위주로 하는 문헌연구에 치중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함경북도에서 중학교(남한의 중고등학교) 고학년까지 수학한 후 우리나라에서 다시 고등학교 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두 탈북학생들을 인터뷰함으로써 학생의 관점에서 북한의 중등학교 수학수업의 모습을 남한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인터뷰를 통해 남북한 중등학교 수학수업의 유사점이 차이점 못지않게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터뷰 분석을 바탕으로 두 학생의 경험이 수학수업 및 평가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As the number of dislocated North Korean students is increasing, the need and interest in supporting their learning are higher. We interviewed two dislocated female North Korean students who had studied middle school mathematics in North Hamgyeong Province and finished high school in South Korea. Two participants compared their student experiences of mathematics lessons in North Korea to mathematics lessons in South Korea. There exist differences but also similarities between mathematics lessons in South and North Korea. On Based on these interviews, we discuss some implication of two students’ experiences on mathematics lessons and examin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및 절차
Ⅲ. 북한과 남한의 중등학교 수학수업
Ⅳ. 두 학생의 경험이 수학수업 및 평가에 주는 시사점
Ⅴ.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