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상 부사의 기능적 특성과 교육 방안 연구

이용수  9

영문명
A Study on Functional Properties and Teaching Method of the Aspectual Adverb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발행기관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저자명
홍윤기
간행물 정보
『한국어교육』20권 1호, 239~26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4.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make clear that Korean aspectual adverbs indicate inner stage of situation made by sentences and suggest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based on that. The aspectual adverbs function as aspectual meaning indicator by modifying specified condition of situation types implicated or unpredicted in verb phrase. The functions of aspectual adverbs are closely connected with situation types of sentence. The modificand of aspectual adverbs could change according to the situation type implicated in sentence. Therefor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 between situation types of sentence and aspectual adverbs is required for teaching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aspectual adverbs to Korean language learners. Showing the aspectual meaning of aspectual adverbs and time phase of sentence through Meta-language would help them effectively understand the aspectual meaning in stage and study time information implicated in sentences.

목차

1. 머리말
2. 상 부사의 기능적 특성
3. 상황유형과 상 부사의 관계
4. 상 부사의 제시 및 교육 방안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윤기. (2009).한국어 상 부사의 기능적 특성과 교육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 20 (1), 239-260

MLA

홍윤기. "한국어 상 부사의 기능적 특성과 교육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 20.1(2009): 239-2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