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연결어미의 종결어미적 쓰임에 나타나는 억양의 중간언어 연구
이용수 21
- 영문명
- A Study of Interlanguage Intonation Manifested in Non-final Endings that Behave like Final Ending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권성미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1권 4호,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study aims at analysing intonation as a grammatical indicator that carries more than two meaning functions in the non-final endings that behave like final endings. The study also examines the acquisition patterns of Chinese learners of Korean on the grammatical indicating aspects of Korean intonation. For the study,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geodeun, -neunde, -eul tende, -eulgeol for those endings that acquire new meanings when used as final endings (TypeⅠ) and -euryeogo, -aseo, -eumyeon for those endings that maintain identical meanings when used as final endings (TypeⅡ). In Experiment Ⅰ, conversation texts were recorded by 4 Korean speakers, and the discrimination test was conducted by 8 Korean native speakers. In Experiment Ⅱ, perception test was carried out on 10 Chinese learners of Korean, and data produced by them also were tested by 5 Korean judge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orean native speakers tend to be able to discern the different meaning functions by intonation. That is, intonation performs as a grammatical marker. Second, Chinese learners of Korean, despite their long periods of residence and amounts of L2 use, present a lack of competence in their results, and, specifically, conspicuously lower accuracy in Type Ⅰ, compared to Type Ⅱ, in terms of perception and production.
목차
1. 서론
2. 연결어미의 종결어미적 쓰임과 억양 얹힘
3. 억양의 문법표지성 조사
4. 억양의 문법표지성 습득 양상 조사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학대상국에 대한 국가인식과 문화교육
- A Classroom Study on the Efficacy of Interactional Feedback for Korean Particles
- 한국어 구어 문법을 어떻게 기술할 것인가?
- 영어권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 문학·교수 학습의 실제
-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한국어 문학 수업
- 시장전체주의와 한국어교육의 정체성
-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선택 연구
- 학문목적 유학생들의 독해력 지수와 읽기 전략, 동기 변인들과의 상관관계 연구
- FonF 연구의 최근 동향이 한국어 교육에 시사하는 점
- 인식 조사를 통한 한국어 구어 유창성의 개념 및 요인 연구
- 한국어 ‘우리’와 중국어 대응표현의 대조분석
-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한 문화교육 방안
- 재미동포 학생을 위한 외래어 교육 연구
-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적용한 한국어 말하기 성취도 평가의 신뢰도와 오차요인 분석
- 한국어 문법용어에 사용에 관한 교사·학습자의 인식 연구
- 연결어미의 종결어미적 쓰임에 나타나는 억양의 중간언어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