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교와 대학의 교양 논리학,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이용수 26
- 영문명
- Teaching an Introductory Logic Course in High Schools and College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여영서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7권 제3호, 71~8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교수, 교재, 운영 체계 등에서 여러 가지로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는 고등학교와 대학의 교양 논리학 교육을 개선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다음 두 질문에 답변한다. 첫째, 고등학교와 대학에서 교양 논리학은 무엇을 가르쳐야 할까? 둘째, 고등학교와 대학에서 교양 논리학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 그 답변의 핵심은 고등학교 교양 논리학 교과목인 <논리와 사고>의2022 개편 교육 과정에 제시됐다. 무엇보다도 현대 논리학 교육에 초점을 맞춰야 하며, 연역 논리학과 귀납 논리학을 균형 있게 가르쳐야 하며, 코딩, 머신 러닝 등 첨단 과학기술 연구와 논리학의 연관관계를 소개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교양 논리학의 교육 효과 증진을 위해 고등학교와 대학의 교양논리학 교수자를 위한 참고도서와 재교육 프로그램을 준비하여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improve the challenging situation in teaching an introductory logic course as a part of a curriculum in high schools and colleges, this paper aims to answer the following two questions. First, what should an introductory logic course teach? Second, what would be an effective teaching plan for an introductory logic course? An answer can be found at the 2022 High School Logic and Thinking Curriculum. It emphasizes first, to teach contemporary logic, second, to teach deductive logic and inductive logic evenly, and third, to introduce the connection between logic and contemporary science technologies such as coding and machine learning. In addition, this paper proposes that an urgent practical matter to be dealt with is a reference book for such an introductory logic course and re-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of this sort in high schools and colleges.
목차
1. 미래 사회와 교양 논리학
2. 대학의 교양 논리학 교육 현황
3. 고등학교의 교양 논리학 교육 현황
4. 대학의 교양 논리학 운용과 교수 내용
5. 고등학교 교양 논리학의 2022 개정 교육 과정
6. 교양 논리학 교육 개선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 <겟 아웃> ‘함께 보기’를 통한 성찰 교육
- 인공지능 기법을 이용한 고전수업의 학습효과에 대한 연구
- 고등학교와 대학의 교양 논리학,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COVID-19 이후 교양체육 활성화의 의미와 디지털 기술 활용 탐색
-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지역사회 문제해결 중심 PBL 수업의 효과성 연구
- 포스트코로나 시대 융복합 온라인 교양교육 개발 연구
- 국내 재입국 재외동포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오류 양상 연구
- 대학 교양 글쓰기에서의 챗GPT 활용 사례와 학습자 인식 연구
- 교양교육연구 제17권 제3호 목차
- 리더십 교양과목 운영 사례연구
- L2 학습에서의 자기평가 효과
- 과목개방을 통한 교양교육과정 공유 가능성 탐색을 위한 사례 연구
- 교양필수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요구도 및 인식 연구
- 전문대학교 도서관 독서프로그램 연구
- 기계번역 활용 한국어 쓰기 수업에서 나타난 학습자 인식과 번역문의 특징
- 반사궁 개념에 대한 듀이의 비판과 교양교육적 함의
- 대학 교양 글쓰기 강좌에 대한 예비 교사 수강생의 수업 인식유형 연구
- 핵심역량에 근거한 활동과 사업 내용의 의미 구조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