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과목개방을 통한 교양교육과정 공유 가능성 탐색을 위한 사례 연구
이용수 53
- 영문명
- Case Study for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Sharing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Credit Transfer: Focusing on US and European Case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이보경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7권 제3호, 41~5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령인구 감소와 재정 악화로 한국의 대학 교양교육은 도전적인 상황에 직면했다. 교양교육과정의 토대가 기초학문 분야 학과도 다수 통폐합되어, 열악한 교양교육의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교양교육 중심의 공유대학 모형은 제한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개방성과 투명성을 확대하여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양질의 과목 공유는 공유대학 성공의 핵심 요소이다. 그러나 자생적으로 추진된 국내 교양 교과목 공유 시도는 동력을 잃고 있다. 이 연구는 미국, 유럽의 과목개방, 학점이전, 교양교육과정 공유의 사례를 탐구하여, 교양교육 중심의 공유대학의 정착에 요구되는 정책적 시사점과 실천적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General education at universities is facing a challenging situation, due to the declining school-age population and lack of finances in Korea. A number of departments in the fundamental academic areas, which are the foundation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have been closed or integrated with other departments, making the situation even worse for education. A shared university model centered on general education can be an alternative that can efficiently utilize limited resources and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by expanding openness and transparency. Sharing high-quality subjects is a key factor in the success of shared universities. However, attempts to share general education subjects, which were promoted by endogenous reasons, are losing momentum. This study seeks implications and practical methods for the establishment of a shared university centered on general education by exploring cases of credit transfer and statewide general education core curricula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목차
1. 서론
2. 교양교육과정 공유가 필요한 배경
3. 교육과정과 교과목 공유 사례
4. 교양교육 중심의 공유대학운영에 대한 시사점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 <겟 아웃> ‘함께 보기’를 통한 성찰 교육
- 인공지능 기법을 이용한 고전수업의 학습효과에 대한 연구
- 고등학교와 대학의 교양 논리학,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COVID-19 이후 교양체육 활성화의 의미와 디지털 기술 활용 탐색
-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지역사회 문제해결 중심 PBL 수업의 효과성 연구
- 포스트코로나 시대 융복합 온라인 교양교육 개발 연구
- 국내 재입국 재외동포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오류 양상 연구
- 대학 교양 글쓰기에서의 챗GPT 활용 사례와 학습자 인식 연구
- 교양교육연구 제17권 제3호 목차
- 리더십 교양과목 운영 사례연구
- L2 학습에서의 자기평가 효과
- 과목개방을 통한 교양교육과정 공유 가능성 탐색을 위한 사례 연구
- 교양필수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요구도 및 인식 연구
- 전문대학교 도서관 독서프로그램 연구
- 기계번역 활용 한국어 쓰기 수업에서 나타난 학습자 인식과 번역문의 특징
- 반사궁 개념에 대한 듀이의 비판과 교양교육적 함의
- 대학 교양 글쓰기 강좌에 대한 예비 교사 수강생의 수업 인식유형 연구
- 핵심역량에 근거한 활동과 사업 내용의 의미 구조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무연고 지역으로의 이주와 배우자의 교대근무 조건이 여성의 양육 자원 손실 경험에 미치는 맥락 탐색
- Arising and Ceasing in an Instant (刹那生 刹那滅): Perceiving the Flow of Change in the I Ching through Hexagonal Visualization
- An Analysis of the Healing Effects of Forest Walking Combined with Medita-tion among Korean Adults: Focusing on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