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Understanding the Language Learner from the Imagined Communities Perspective: The Cas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U.S.
이용수 10
- 영문명
 - 상상공동체 관점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 동기 이해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시원 조혜원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8권 4호, 367~402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current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multi-faceted desires of language learners through the theoretical lens of imagined communities (Norton, 2001). Particularly, the study focuses on the learners of Korean language—one of the less commonly taught languages in the U.S. that has received relatively less attention in previous literature on second language motivation. The study analyzed and compared the narratives told by eleven Korean language learners in a post-secondary language program, and identified four types of imagined communities: Communities of K-pop Culture, Communities of Professionals, Communities of Korean Family and Relatives, and Communities of ethnic Koreans. The study found that these imagined communities were not restricted to a specific region or an ethnic group but encompassed various populations connected through the use of Korean language. The study also found variability within what has been readily labelled as heritage motivation (or motivation related to heritage), as well as striking differences between heritage language learners and non-heritage language learners in terms of their scope of imagin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목차
1. Introduction
	                       
	                          2. Second Language Learning Motivation and Imagined Communities
	                       
	                          3. Korean Language Learners in Post-secondary Institutions in the U.S.
	                       
	                          4. Methodology
	                       
	                          5. Results
	                       
	                          6. Discussion
	                       
	                          7. Conclusion and Implica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외국인 학부생을 위한 바꿔 쓰기 교육의 효과
 - 한국의 가치문화 교육을 위한 광고 자료 선정
 - 다문화가족 구성원 대상 보이스트레이닝 서포터스 양성과정 운영 사례 연구
 - 한국어·중국어 이중 언어 사용 아동의 어휘 다양성
 - 델파이 조사법을 이용한 학문 목적 한국어 읽기 능력 평가 구성 요인 연구
 - 중국인을 위한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
 - The Acquisition 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Adverbial Particle -ey by L1 English Learners of Korean
 - 영어권 초급 한국어 학습자의 시선 추적을 통한 문법 이해 양상 연구
 - 한국어 ‘됐어’와 중국어 ‘X了’의 대조 연구
 - 한국어교육 연구방법론에 대한 동향분석
 - Understanding the Language Learner from the Imagined Communities Perspective: The Cas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U.S.
 - L2 한국어 통사 발달과 학습자 변인에 대한 종적 고찰
 - 외국인을 위한 한글맞춤법 시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醒菴 李喆榮의 항일 일기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