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GBT Korean learners and their Perception of Heteronormativity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유리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33권 3호, 35~5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1) demonstrate that there is a considerable population of LGBT people who are learners or potential learners of Korean as a second language; 2) to point out that KSL/KFL education tends to manifest heteronormativity which could deprive LGBT learners of learning opportunities; and 3) to contemplate the methods to improve KSL/KFL education for LGBT learner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Korean subreddit website. More than 70% of the survey respondents identified themselves as LGBT and 19.1% responded that teacher talk and/or teaching materials are unnecessarily based on heteronormativity. Methods to improve KSL/KFL education suggested including LGBT people in teaching materials the same way as heterosexual people and teaching LGBT related terminology. More than 90% responded there still is a need to make KSL/KFL education LGBT friendly even if there is a low chance of encountering openly LGBT person in Korea. This study concludes that gender dichotomy and heteronormativity should be avoided, which could begin with rejecting the notion that every learner is heterosexual.
목차
1. 서론
2. 학습자의 성적 정체성과 제2언어 학습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明美堂集』편찬 과정과 耕齋 李建昇의 역할 - 『海耕堂收草』에 수록된 서독문을 중심으로
- 11세기 후반-13세기 전반 高麗 古文脈의 구성과 高麗 中期 試論
- 11~15세기 동아시아의 公案禪 확산과 詩文의 성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