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Writing Prompts on Korean Learners’ Writing Performance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신희랑 원미진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34권 2호, 107~13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writing prompt types on the writing performance of intermediate learners in Korean, and to seek the development of writing prompts through which intermediate learners can demonstrate their writing skills. To this end, three types of prompts provided in Korean learners’ writing were presented and the results of the learners’ writing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type of writing prompt ha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the development structure among the writing evaluation constructs. In addition,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in the composition of learners’ writing by level (high, intermediate and low), learners with TOPIK test experience were compared to learners without TOPIK test experience in the structure (frame) presentation prompt among the three types of promp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ing factor of content, structure, and language use.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develop various writing prompts that can lead learners’ writing ability.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성별별 비음화 발음 오류 양상 및 특성
- 한국어교육을 위한 단순읽기관점의 활용 가능성 모색
- 쓰기 프롬프트가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중국인 학습자 대상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동향에 대한 한·중 비교 분석
- 상위인지 순환 교수법 기반의 외국인 학부생 대상 한국어 듣기 수업 설계
- Individual Differences and Character-Based Challenges in Hangul Acquisition Among Korean Language Learners in Japan
- 한국어 빈도 프로파일 구축 및 타당도 검증 연구
- 온라인 한국어교육에서 교원의 학습 관리 활동과 학습자의 교육 만족도 분석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기본문형 오류 양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