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Research on Oral Formulas(口訣 kugyŏl)in Sŏjon Taemun (書傳大文) Printed with Ŭlhae Type Housed in Hwasan Collection at Korea University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 저자명
- 노요한
- 간행물 정보
- 『대동한문학』第74輯, 113~162쪽, 전체 5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8,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고려대학교 도서관 화산문고에는 을해자로 찍은『書傳大文』영본 1책이 전한다(화산 貴 132 2). 이 책은 서명이 ‘大文’으로 되어 있어 정조대에 경서의 본문만을 찍어낸 책을 연상하기 쉽지만, 이 책은 명종 연간에 『서경』의 대문, 곧 경문과 경문에 대한 구결을 소자로 함께 박아 낸 책이다. 그렇다면 이 책의 편찬에 간여한 사람은 누구이며 이 책이 간행된 목적은 무엇일까. 경문의 구결은 누구에 의한 것이며, 그 구결은 세종조와 세조조에 이루어진 경서구결과 어떤 관련을 가지고 있을까. 나아가 이 책의 구결은 선조대에 편찬되는 『서전언해』의 구결 및 언해와 어떤 관계를 지니고 있으며, 조선전기 경서해석의 흐름에서 어떠한 위치를 차지고 있는 것일까. 본고는 이러한 점들을 염두에 두면서 『서전대문』에 대해 간단히 논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In the Hwasan collection at the Korea University Library, a rare book named Sŏjon Taemun(書傳大文) is preserved. It is easy to think of this book that it was printed during King Chongjo's reign as its title includes the term ‘Taemun’(大文) which means the original text of the Classics, but this book was edited and printed in the early Chosŏn period with kugyŏl for its original text of the Shujing. Furthermore, how does the oral formulas of the book relate to the oral formulas and translations of Sŏjon onhae, and what position does it occupy in the flow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Classics in the early Chosŏn period? With these points in mind, this paper discusses Sŏjon Taemun.
                    목차
1. 들어가며
	                       
	                          2. 을해자본 『書傳大文』 簡介
	                       
	                          3. 세조조의 경전구결
	                       
	                          4. 『서전대문』과 『서전언해』의 구결 비교
	                       
	                          5. 『서전대문』·『서전언해』와 이황 『경서석의』의 관계
	                       
	                          6.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峿堂 李象秀의 『詩經』해설 방식과 의미
- 大東漢文學 第74輯 목차
- 權文海가 경영한 醴泉 草澗亭의 변천사
- 고려대 화산문고 소장 을해자본 『書傳大文』의 구결에 대하여
- 筆談의 형성 과정과 성격
- 『景宗春宮日記』를 통해 본 왕세자 書筵과 독서
- 한자 표준 속성정보 DB 고도화의 필요성과 과제
- 조선시대 학자들의 科文 학습에 대한 비판과 회의적 수용 양상
- 『麗韓十家文鈔』에 대한 일고
- 拙修齋 趙泰徵의 師門 辨誣 考察
- 시선집 『靑丘詩鈔』의 편찬과 문학사적 의미
- 『燕槎錄』에 드러난 朴齊寅의 상업 경제에 대한 관심
- 菱洋 朴宗善의 검서관 시절 교유와 작시 활동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 교육을 위한 간접인용문에서의 인용동사 시제 선택 - 형식적 요인과 화자 요인을 중심으로
- 전승 한자음에서의 설·치음 뒤 j계 상향이중모음의 단모음화 과정 연구 - 『왜어유해』·『아학편』·『국한회어』 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강점기 웅변서적 연구 - 유형별 검토 및 사회적·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