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증장애인 고용 활성화 방안 연구
이용수 422
- 영문명
- A Study on Vocational Rehabilitation Improvement for the People with Significant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이혜경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제27권 제1호, 139~16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교육, 고용, 사회참여 등 많은 영역에서 평등한 기회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으며, 중증장애인의 경우에는 그 정도가 더 심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중증장애인은 고용에서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어, 중증장애인의 고용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증장애인의 직업지원 및 직업재활서비스를 실시하는 보건복지부 중심의 사업과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확인하고 중증장애인 고용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중증장애인 고용 활성화를 위해 보건복지부 추진사업별 개선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첫째, 장애인일자리사업과 중증장애인직업재활지원사업의 연계를 통한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 및 서비스 질 제고, 둘째, 중증장애인 고용 확대 및 고용 후지원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 및 인력 지원, 셋째, 직업재활시설 이용장애인에 대한 추가급여 지원, 마지막으로 장애인일자리사업과 직업재활시설과의 연계를 통한 장애인의 고용 유지 방안 모색 등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disabled population continues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ingle-person households is increasing, and the proportion of significant disabilities such as autism and mental disorders continues to increase by type of disability. In particular, the significantly disabled are experiencing greater difficulties in employment, so we tried to find ways to revitalize employment for the significantly disabled. To this e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centered projects and previous studies that provide vocational support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the significantly disabled were analyzed to identify problems and suggest ways to revitalize employment for the significantly disabled. First, efficient service provision and service quality improvement through the linkage of job projects, Second, training of professional manpower and supporting manpower to expand employment and support after employment for persons with significant disabilities, Third, support for additional benefit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us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중증장애인 고용 현황 및 특성 분석
Ⅲ. 장애인일자리사업 분석
Ⅳ. 중증장애인직업재활지원사업 분석
Ⅴ. 장애인직업재활시설 분석
Ⅵ.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정신장애인 지역사회전환시설의 성과 및 개선방안 연구
- 성인 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발달장애 청년의 사회활동 참여가 미래계획 수립에 미치는 영향: 자립 의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