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몽골족 전통음악의 현대화 사례 연구
이용수 53
- 영문명
- A Study on the Modernization of Mongolian Traditional Music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과근(Ge Gen) 홍성규(Sungkyoo Hong)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22 No.1, 10~18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2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몽골족 전통음악은 유목민족의 기상과 생활양식을 반영한음악이며 주요 음악적 특징은 ‘장조’과 ‘후미’ 창법, ‘마두금’, 몽골어의 사용이다. 전통음악의 현대화를 시도한 주요아티스트는 ‘텅꺼얼’, ‘항가이 밴드’, ‘후스렁’, ‘봉황전기 밴드’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의 음악을 통해 전통음악의 현대화 양상과 더불어 그 한계점도 발견할 수 있었다.주요 문제점은 악곡의 창작 방식에 있어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지 못했으며 당대적 감각과 괴리된 채 현대적인 다양한 표현방식이 부재하여 대중음악의 흐름을 추동하는 젊은 계층의 호응을 받지 못하고 향유계층이 중·장년층에 편중되는 경향을보이고 있는 점이다. 이에 따라 균형감 있는 융합적 창작방식, 음악적 표현의 다각화, 음악적 소재의 확대, 전통악기와서양악기의 균형감 있는 배치, 현대적 가창표현 등이 강조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Mongolian traditional music reflects nomadic spirit and life style and its’ main musical features is the use of Mongolian language of singing methods such as “Long-Sonmg”, “Khoomel”, “Hore-Head Fiddle”, Important artists who tried the modernization of Mongolian traditional music, are ‘Tengri’, Hanggal Band’, ‘Hullen’. ‘Phoenix Legend Band’. Through their musical works, we can find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al music and limitations as well. Major issues is the lack of reflection of young generations’ demands and the tendency to focus on the old generation against them who lead the flow of popular contemporary music with the absence of the current various expression method. Thus, I propose well-balanced integrated composing method, the diversification of the musical expressions, the extension of musical materials, the balanced arrangement of Western and Mongolian traditional instruments and the latest singing expression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 몽골족 전통음악의 현대화 사례 연구
- 라이프스타일 제안을 위한 기업 디자인경영에 대한 사례 연구 - 츠타야 서점과 하나은행 컬처뱅크를 중심으로╶
- 대학교 음악수업의 온라인 활용에 대한 연구 ╶ 무크(MOOC) 플랫폼을 중심으로╶
- 지역활성화를 위한 경관계획 ╶ 부안군 선사문화권역을 중심으로╶
- TV홈쇼핑에서 화면구성 디자인이 시청자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 ╶ 현대홈쇼핑과 롯데홈쇼핑을 중심으로╶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22 No.1 목차
- SNS 이용동기 및 연동광고 특성이 뷰티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중심으로 -
- 영화매체에서 배우의 주의집중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 연구 ╶ 샌포드 마이즈너의 말 반복 게임(Word Repetition Game)을 중심으로╶
- 조형적 오브제를 활용한 패션 스토어 스페이스 브랜딩에 관한 연구 ╶ Acne Studios의 전세계 주요 패션 스토어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