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영어교육 전공 대학생들의 영어학습 동기 변화 양상 비교연구: 회고록을 바탕으로
이용수 166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nges of English learning motivation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English education: Based on the retrospective essays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오신유(Shinyu Oh) 김태영(Tae-Young Kim)
- 간행물 정보
-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Vol.32, No.1, 97~132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영어교육 전공 대학생 42명의 지난 10여년간의 영어학습 동기및 탈동기 과정을 분석한 질적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들의 학교급별 동기 변화는 각각 동기화집단인 상향과 ‘V’ 패턴 그룹, 탈동기화집단인 하향과 역‘V’ 패턴 총 네 그룹으로 분류하였으며, 근거이론에 기반하여 학습동기 회고록 및모티그래프를 분석하였다. 동기화 집단에 해당하는 상향 및 ‘V’패턴 그룹은각각 긍정적 언어 태도 및 인적 요인으로 인해 점진적 동기화 및 재동기화과정을 거쳤으며, 탈동기화 집단인 하향 및 역‘V’ 패턴 그룹은 학습 요인으로인한 점진적 혹은 때로는 급격한 탈동기화 과정을 경험하였다. 주목할 것은, 주요 탈동기 요인으로 발견된 학습 요인은 네 그룹 모두에서 유사하게 발견되었으나, 그룹별로 이를 평정하는 방식과 재동기화 기회 여부에 따라 전반적인 동기패턴이 달라짐을 발견하였다. 이는 탈동기를 경험한 학습자들은 재동기를 위해 영어학습 의지를 바탕으로 한 구체적인 목표 설정과 긍정적인 영어학습 태도 재확립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전체 그룹에서모두 발견되는 탈동기 요인인 학습 요인에 대한 해결방안을 논의하도록 한다.
영문 초록
This qualitative study analyzes the English learning (de)motivation process over the past ten years of 42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English education. The changes in participants’ motivation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the upward, ‘V’ pattern, downward, and inverse ‘V’ pattern groups. Students’ retrospective essays on their (de)motivation process of learning English were analyz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The upward and ‘V’ pattern groups went through gradual English learning motivation due to positive language attitudes and human factors, respectively, while the downward and inverse ‘V’ pattern groups experienced gradual or sometimes rapid demotivation due to the learning factors such as learning methods. It is noteworthy that the significant demotivating factors, learning factors, are found in all four groups. However, the overall motivation pattern (gradual increase or decrease) varies depending on how students sensitize or appraise the external learning environment. It suggests that learners who have experienced demotivation need a chance to re-experience positive English learning attitudes based on their willingness to learn English for remotivation. In addition, solutions to learning factors, demotivating factors found in all four groups, will be discuss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특수교육학연구 제60권 제1호 목차
- 특수교사의 의사소통역량과 소진의 관계에서 교사-부모 협력과 교사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 예비중등교사의 특수교육 관련 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