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 of Perception of Local Environment on Fear of School Violence by School Level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 저자명
- 한유경(Han, You-Kyung) 황혜영(Hwang, Hyeyoung)
- 간행물 정보
-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Vol.32, No.1, 133~15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학교폭력 두려움에 대한 지역사회 인식의 영향력에 대해 살펴보았다. 서울시 초·중·고 각 1개교 총 46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적 특성(성별, 자존감)과 사회적지지 요인(부모·또래· 교사지지)을 통제한 후에도, 지역에 대한 인식이 학교폭력 두려움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질서에 대한 인식은 학교급과 상관없이 학교폭력 두려움에 정적인 예측을 보였다. 비공식적 사회통제는 고등학생에게만학교폭력 두려움과 부적인 관계를 나타냈다. 지역 유대감의 경우, 초등학생에게는 부적으로 고등학생에게는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정책적 접근에 있어서 지역사회의 역할에 대한 강조가필요하며, 학교급에 따른 차별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adolescent’s perception of local environment(social disorder, social informal control and community attachment) on fear of school violence. A total of 464 responses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ption on social disorder i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fear of school violence regardless of school grade. Social informal control is negatively related to fear of school violence for only high school students. Regarding the relation between community attachment and fear of school violence, different pattern appears for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y implies the necessity of adopting a different administrative approach on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invention with consideration on age or school grad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학교, 고등학교 지체장애 학생의 직업흥미 분석: 직업흥미검사(NISE-VISIT)를 중심으로
- 가정 순회교육을 통한 AAC 활용 요구 모델 교수가 중도 지체장애 유아의 요구하기에 미치는 영향
-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 참여자의 역량 확장 경험과 인식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