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ative analysis of pretty and sexy makeup: between South Korean and Chinese girl groups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이란 최민령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제24권 제1호, 237~25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2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color and shape in eye and lip makeup between South Korean girl groups with a wide appeal of pretty and sexy image to understand ingredients of South Korean style makeup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Chinese girl groups to apply to their makeup. First of all, when it comes to color for pretty image, eye shadow saw orange red or reddish orange have its desired effect, and so do orange on cheeks and red on lips. With regard to shape for pretty image, penciling eyebrows naturally straight and drawing eye lines extended horizontally with no emphasis on the outer corner of the eye to make eyes look long had the much more desired effect. In addition, incurved lips, with cupid’s bow upper lip and lip lines not clear, proved to be effective. In brief, such makeup designs may be what is recommended as an effective option for Chinese girl groups to have their pretty image. Secondly, as far as color for sexy image goes, eye shadow saw orange red or orange enjoy its apposite effect, and so does red purple, red or orange red on cheeks and on lips. As regards shape for sexy image, penciling eyebrows naturally straight and drawing eye lines extended horizontally with an emphasis on the outer corner of the eye to make eyes look long had its desired effect. Besides, out curved lips, with cupid’s bow upper lip and lip lines underscored, turned to work well. In short, this makeup design option can be a good suggestion for Chinese girl groups to have their sexy image.
목차
Ⅰ. 서론
Ⅱ. 내용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 전통 화조화를 모티브로 한 헤어아트
- 헤어미용 분야의 디지털 일러스트 프로그램 활용 제안을 위한 분석 연구
- 성인 여성의 웰니스가 미용소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퍼머넌트 메이크업 종사자의 관계마케팅과 라포형성이 고객만족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뷰티 콘텐츠 의 (Beauty Contents) 유튜브 선호도 분석 (YouTube)
- 미용 관련 대학의 맨즈 헤어 교육과정 현황 분석 연구
- 현대적 동양화의 네오팝 이미지를 응용한 아트 메이크업 디자인 표현연구
- 2022년 팬톤컬러를 적용한 메타휴먼 메이크업 작품연구
- SNS를 통한 뷰티샵 선택속성이 SNS 태도와 만족 및 구전 의사에 미치는 영향
- 미용현장 종사자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보조도구 개발
- 남성 브라질리언 슈가링 왁싱에 대한 선호도 및 시술 만족도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뷰티 교육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이 핵심역량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쿠사마 야요이(Kusama Yayoi) 작품의 표현 특징을 응용한 아트 메이크업 디자인 연구
- 미용 특성화 고등학생의 핵심역량분석
- 프리티와 섹시 이미지의 걸 그룹 메이크업 연구
- 화장품 기업의 SNS 마케팅이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NCS기반 헤어미용 교육의 만족도와 활용성 연구
- 북미 헤어드레싱 어워즈의 미용작품에 표현된 미메시스 연구
- 헤어 미용 종사자의 자기관리가 직무몰입 및 미용 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 Z세대의 소비가치가 코스메슈티컬의 안전성과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유산소 운동시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여드름 발생률과 피부수분도 변화
- 미용여가 활동 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성공적 노화 매개변인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4권 제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팜봇(Farmbot)을 활용한 융합디자인씽킹 프로그램의 다면적 평가 - 초등교육 맥락에서의 농생명 ICT 및 자동화 교육을 중심으로
- 국내 도자기 작가의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분석
-
하드 밥 드러밍의 미학적 특성 - 아트 블래키(Art Blakey)
와 연주 분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