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Assistant Devices Needed to Improve Working Environments for Beauty Industry Workers: Focusing on the power cord-holding devices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홍다검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제24권 제1호, 119~13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2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help beauty industry workers reduce their physical burden which is directly related with job stress. For this, a survey was performed against cosmetologists who have provided services for at least one (1) year,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When asked what has made them uncomfortable at work, ‘use of wired electronic devices’ was most responded with 39%. When asked what problems they face in using such devices, ‘tripped over the power cord’ was the highest with 50%. To improve working environments, this study developed a power cord-holding device based on beauty industry workers’ voices. The power cord-holding arm band is designed to prevent the power cord from sagging by fixing it to a user’s arm. This power cord holder is comprised of an arm band and a cable-holding unit. According to a survey on users’ satisfaction with the assistant device, high satisfaction (‘very satisfied (43%)’, ‘satisfied (43%)’) was responded. The above results confirmed that a power cord-holding device is effective in reducing inconvenience and fatigue at work for beauty industry workers. It is anticipated that the effectiveness of such power cord-holding device would be tracked after a long us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고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 전통 화조화를 모티브로 한 헤어아트
- 헤어미용 분야의 디지털 일러스트 프로그램 활용 제안을 위한 분석 연구
- 성인 여성의 웰니스가 미용소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퍼머넌트 메이크업 종사자의 관계마케팅과 라포형성이 고객만족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뷰티 콘텐츠 의 (Beauty Contents) 유튜브 선호도 분석 (YouTube)
- 미용 관련 대학의 맨즈 헤어 교육과정 현황 분석 연구
- 현대적 동양화의 네오팝 이미지를 응용한 아트 메이크업 디자인 표현연구
- 2022년 팬톤컬러를 적용한 메타휴먼 메이크업 작품연구
- SNS를 통한 뷰티샵 선택속성이 SNS 태도와 만족 및 구전 의사에 미치는 영향
- 미용현장 종사자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보조도구 개발
- 남성 브라질리언 슈가링 왁싱에 대한 선호도 및 시술 만족도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뷰티 교육종사자의 전문성인식이 핵심역량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쿠사마 야요이(Kusama Yayoi) 작품의 표현 특징을 응용한 아트 메이크업 디자인 연구
- 미용 특성화 고등학생의 핵심역량분석
- 프리티와 섹시 이미지의 걸 그룹 메이크업 연구
- 화장품 기업의 SNS 마케팅이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NCS기반 헤어미용 교육의 만족도와 활용성 연구
- 북미 헤어드레싱 어워즈의 미용작품에 표현된 미메시스 연구
- 헤어 미용 종사자의 자기관리가 직무몰입 및 미용 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 Z세대의 소비가치가 코스메슈티컬의 안전성과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유산소 운동시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여드름 발생률과 피부수분도 변화
- 미용여가 활동 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성공적 노화 매개변인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24권 제1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빅데이터를 활용한 워케이션 트렌드 분석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팜봇(Farmbot)을 활용한 융합디자인씽킹 프로그램의 다면적 평가 - 초등교육 맥락에서의 농생명 ICT 및 자동화 교육을 중심으로
- 국내 도자기 작가의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분석
-
하드 밥 드러밍의 미학적 특성 - 아트 블래키(Art Blakey)
와 연주 분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