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커피전문점을 이용하는 20대가 인지한 제품 단서와 지각된 품질의 관계연구
이용수 34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Cues and Perceive Quality Perceived by 20s in the Coffeehouse: An application of Canonical Cor relation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커피협회
- 저자명
- 이환의 차재빈
- 간행물 정보
- 『한국커피문화연구』제5권 2호, 1~1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cues and perceived quality perceived among 20s in the coffeehouse. For this purpose, we used the empirical data collected from 239 coffeehouse respondents in there 20s an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employed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is. Data analysis extracted two canonical functions. In canonical function 1, the higher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extrinsic cues(.826) and perceived quality of the design of coffee packaging(1.207), coffee brand(.487), coffee price(-.055) and employee’s responsiveness(.024) in order. In canonical function 2, intrinsic cue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he design of coffee packaging(1.187). Overall, the relationship of coffee product cues and perceived quality in the context of the coffeehouse was better explained by canonical function 1. Based on the findings and conclusions, managerial implications to the field of coffeehouse industr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전공자율선택제(무전공제) 현황과 운영의 방향성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AI의 젠더 편향에 대한 비판적 교수학습 전략 사례 연구 - 챗GPT를 활용한 여성학 교양강의 과제 분석을 중심으로
- 고전읽기 강좌 수강생의 역량 변화와 인지욕구 수준에 따른 차이 탐색
- 교양 마이크로디그리 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K대학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