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과에서 시조교육의 의의와 지도 방안

이용수  80

영문명
Significance and Teaching Method of Sijo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염창권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120호, 285~31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한국어교육에서 시조갈래의 교육적 가치를 밝히고 단원 설계와 지도 방안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방법:시조교육의 가치를 밝히는 과정에서는 문예비평이론과 교육현상학에 바탕을 둔 질적 방법론을, 지도 방법을 개발하는 과정에서는 교육공학적 방법론에 따랐다. 결과:구어적 전통에서 출발한 시조는 우리문학의 고유성과 보편성을 동시에 함축한다. 시조교육에서, ① KSL 기반(한국어)과 ② Korean Literature Education(한국어, 번역어) 모두에 교재 제공이 가능하고, 한국문학의 수용과 생산이라는 학습 경험을 수월성 있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사소통 능력이라는 도구성 획득뿐만 아니라, 한국문학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이의 세계화에 기여할 수 있다. 한국어 학습자 및 전공자에게 투입 가능한 시조 단원의 예시를, “초급 과정(주제 찾기)→ 중급 과정(3행의 의미 결속)→ 고급 과정(연시조의 이해와 창작)” 등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결론:시조텍스트의 수용과 창작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은 언어적 표현 능력 신장과 함께 한국문학의 특성과 문화를 효율성 있게 학습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ducational value of Sijo fork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educational unit design and guidance for education. Methods: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 value of Sijo education followed qualitative methodology based on literary criticism theory and educational phenomenology. Educational engineering methodology was used in developing teaching method. Results:Sijo, which originated from the spoken tradition, simultaneously implies the uniqueness and universality of korean literature. In Sijo educ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extbooks on both ① KSL-based (Korean) and ② Korean Literature Education (Korean, translations) and to provide learning experiences of accepting and producing Korean literatur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dentify not only the instrumentality of communication ability but also the identity of Korean literature and contribute to its globalization. An example of a sijo unit that can be applied to the education of korean learners or korean majors is divided into “beginner course(intermediate subject) → intermediate course(meaning of three lines) → advanced course(understanding and creation of United[Lyeon]-Sijo)” Conclusion:Through the acceptance and creative activity of the Sijo text, learners can learn the characteristics and culture of Korean literature efficiently with the enhancement of the linguistic expression ability.

목차

1. 들어가며
2. 시조갈래의 교육적 가치와 논리
3. 시조 단원 설계와 지도 방안
4.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염창권. (2019).한국어과에서 시조교육의 의의와 지도 방안. 새국어교육, (), 285-315

MLA

염창권. "한국어과에서 시조교육의 의의와 지도 방안." 새국어교육, (2019): 285-3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