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메타언어적 효능감을 구성하는 요인 분석

이용수  66

영문명
Analysis of Factors Constituting Metalinguistic Efficacy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박혜림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120호, 97~12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본고는 메타언어적 효능감을 개념화하고, 그것을 구성하는 요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메타언어적 효능감은 일종의 쓰기 효능감으로서 텍스트를 반성하고 조작하는 능력에 대한 신념을 말한다. 메타언어적 능력은 언어 층위에 따라 메타음운/형태론적 능력, 메타통사론적 능력, 메타의미론적 능력, 메타텍스트적 능력, 메타화용론적 능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다섯 가지 하위 영역에 대한 문항을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메타언어적 효능감을 구성하는 요인을 찾고,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해 구인의 적절성을 확인하였다. 결과:요인 분석 결과 메타언어적 효능감의 3요인 구조 모형을 확인하였다. 3요인은 독자의 이해를 돕고 독자의 지식 수준 및 흥미를 고려하는 것과 관련된 독자 지향 메타언어적 효능감, 필자의 의도를 충분히 드러내고 필자의 생각을 응집성 있게 표현하는 것과 관련된 필자 지향 메타언어적 효능감, 맞춤법과 문장의 호응 등 문법 규칙에 맞는 언어를 생산하는 것과 관련된 텍스트 지향 메타언어적 효능감이다. 결론:세 요인을 중심으로 메타언어적 능력을 신장할 수 있는 쓰기 교육 내용 및 방법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ceptualize metalinguistic efficacy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constitute it. Methods:Metalinguistic efficacy refers to a belief in the ability to reflect and manipulate text as a kind of writing efficacy. Metalinguistic ability can be classified into metaphonological/ morphological ability, metasyntactic ability, metasemantic capacity, metatextual capacity, and metapragmatic capacity along the language layer. Based on the questions on these five sub-domain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constitute the metalinguistic efficacy and confirm the appropriateness of the questionnaire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we confirmed the three factor structure model of metalinguistic efficacy. The three factors are reader-directed metalinguistic efficacy, writer-directed metalinguistic efficacy, And text-directed metalinguistic efficacy. Conclusion:The content and method of writing education that can enhance the meta-linguistic efficacy of students need to be prepared based on three factor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혜림. (2019).메타언어적 효능감을 구성하는 요인 분석. 새국어교육, (), 97-122

MLA

박혜림. "메타언어적 효능감을 구성하는 요인 분석." 새국어교육, (2019): 97-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