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장전문성이 패션 모바일 앱 특성, 만족, 모바일 쇼핑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6
- 영문명
- Effect of Market Mavenship on Fashion Mobile App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and Continued Shopping Intention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박수경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제26권 제3호, 111~12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ackground/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market mavenship on fashion mobile app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and continued shopping intention.
Methods: In this study, data on 234 individuals in their 20s and older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based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factor, reliability, cluster, t-test, ANOVA, Ducan test, and regression analyses using SPSS 27.0 statistical program.
Results: First, two factors, including speed and ease of use, for fashion product mobile shopping app were extracted, and consumer satisfaction, including product, app, and overall satisfaction, was thoroughly examined. Second, groups with high market mavenship had higher perception of fashion mobile app characteristics and higher overall satisfaction, including product and app, and mobile shopping persistence than groups with low market mavenship. Third, this study examined how market mavenship influences the speed and ease of using app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mavenship, app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and continued shopping intention. App satisfaction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order of market mavenship, speed, and ease of use, which, in turn, influenced mobile shopping persistence. Fourth,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demographic variables and app usage in terms of job and app-down status. Additionally, when downloading and using a fashion app, market mavenship, speed, ease of use, satisfaction, product satisfaction, app satisfaction, and continued shopping intention were higher than for those who did not download the app.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results concluded that fashion mobile app characteristics and market mavenship are useful variables for understanding mobile consumer behavio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내 인테리어용 오크 무늬목의 산성염료 염색성 및 후가공 효과
- 추억 감성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패션제품 리디자인 기획과 제작
- 장애인정책 및 서비스 변화에 따른 장애인복지인력 보수교육체계 진단과 제언
- 유아기 부모의 양육불안과 스트레스가 심리 및 행동 통제에 미치는 영향
- 시장전문성이 패션 모바일 앱 특성, 만족, 모바일 쇼핑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정서지능 및 회복탄력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생활과학연구논총 제26권 제3호 목차
- 공동주택의 장기수선계획 및 장기수선충당금 집행의 제도적 개선방안
- 충북 서비스직 종사 여성의 경력단절 특성과 정책 방향
- 국내 섬유·패션산업 재직자의 수요를 반영한 NCS 기반 개발 교육과정의 만족도 분석
- 가상현실 체험을 위한 팬티 형태의 하네스 개발 및 하중 압력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베이커리카페의 브랜드 자산이 브랜드 만족도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외식 소셜미디어에 대한 지각된 가치가 지식공유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커피산업 종사자의 자기주도 직무재구성이 직무만족, 직무열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