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주자와 쉐플러의 사유구조에 기반한 ‘신념론’ 비교와 교육적 시사점
이용수 2
- 영문명
- Comparison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Belief' Based on Zhuxi and Scheffler's System of Thought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회
- 저자명
- 한지윤
- 간행물 정보
- 『교육철학』第85集, 91~11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find clues for solving educational problems while comparing and analyzing belief based on the system of thought of Zhuxi and Scheffler.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belief, the common point is, first, the connection between 'belief' and ‘question’. Second, it is to separate ‘belief’ and ‘practice’ at the theoretical level, and to see ‘practice’ as you know in the state of having ‘belief’ at the actual level. The difference is, firstly, that Zhuxi discusses ‘nature’ as a conceptual system and Scheffler discusses ‘rationality’. Second, Zhuxi puts emphasis on realizing as soon as he has the belief that he has nature in his mind as ‘cultivating’ due to his ‘monistic system of thought’, and Scheffler emphasizes the formation of true beliefs through ‘critical dialogue’ due to the ‘dualistic system of thought’. Based on this, first, the clue to solving educational problems that form false beliefs can be found in doubting the possibility of errors through Scheffler's critical dialogue. Second, the clue to solving educational problems in which knowledge and action are separated can be found in doing what one truly knows in a state of belief based on Zhuxi. Third, the clue to solving the problem of giving up without forming a belief can be found in cultivating an attitude of not giving up based on Zhuxi.
목차
Ⅰ. 서언
Ⅱ. 주자와 쉐플러의 신념론
Ⅲ. 사유구조에 기반한 신념론 비교
Ⅳ. 결어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생의 취업눈높이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분석
- 상관의 개발리더십과 육군 ROTC 단기복무 전역장교의 경력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 분석
- 프로티언 및 무경계 경력태도에 기초한 경력개발 유형 탐색: 유형별 정서적 조직몰입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