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Normative status of adverbs gdje, kuda, kamo and pronoun koji
- 발행기관
- 한국슬라브어학회
- 저자명
- Др Владимир Остојић
- 간행물 정보
- 『슬라브어 연구』제27권 제2호, 115~12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paper, the author considers the distribution of the adverbs gdje, kuda, kamo in interrogative and dependent-complex sentences. He also comments on the repartition of accusative singular forms of the masculine pronoun (koji) in the conjunctive service, attribute function and independent use with the meaning of the interrogative pronoun. The author paid special attention to: (1) the alternating use of the adverb gdje with the meaning of kuda and kamo and vice versa, and the loss of the difference between gdje and kamo to the detriment of the latter and (2) the reduction of two accusative forms referring to the living and the inanimate to the one who has a pronoun that has when referring to a being - kojega / koga.
목차
Литератур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러시아어 전이음 /j/와 모음 /i/의 음향적 특성 연구
- Temporal and aspectual characteristics of verba sentiendi et cogitandi in Czech
- Jazyk písomností Slovákov na dolnej zemi: na príklade slovenského vojvodinského evanjelického cirkevného zboru a. v. Kysáč v rokoch 1773 – 1918
- 슬라브어 연구 제27권 제2호 목차
- Вербализация концепта «Труд» у разных народов: на материале русских, английских и корейских пословиц
- 체츠냐의 민족-언어상황 연구
- 러시아어 외래어 표기법의 새로운 접근
- 중의성 문제 해결을 위한 데이터 및 모델 개발 기반 인공지능 방법론 연구
- Нормативни статус прилога гдје, куда, камо и замјенице који
-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감사 화행 대조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랭보의 「대홍수 이후」와 『일뤼미나시옹』
- 기호체계 안에서 주체의 위상에 관한 연구: 벤브니스트와 보드리야르의 이론을 중심으로
- 디지털 시대의 문학적 실험: 베로니크 타켕 『네트워크 소설』의 그물망 서사와 참여형 출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