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도산 안창호의 민족독립운동에 관한 연구

이용수  36

영문명
A Study on Dosan An Chang-ho’s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발행기관
한국민족사상학회
저자명
김척수
간행물 정보
『민족사상』제12권 제1호, 35~6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4.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도산 안창호의 국권회복을 위해 활동한 민족운동의 성격과 그 시대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도산의 민족운동은 한일합방을 전후로 구국계몽운동시기와 자아혁신을 통한 국권회복운동으로 대별할 수 있다. 도산의 민족운동 성격은 국망과 식민지 현실을 극복하려는 ‘민족의 힘’에 대한 혁명적(정신적·실천적) 투쟁이라 할 수 있다. 도산은 국망의 원인을 ‘거짓’과 ‘공리·공론’으로 근대화하지 못한 민족 자체의 문제로 파악하고, 민족의 국권회복을 위해서는 개인적·조직적·국가적 차원에서 민족의 혁명적 힘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도산의 민족운동은 개인의 힘에서 시작하여 집단(조직활동) 및 국가의 힘으로 연결되는 역량축적에 중점을 두었으며, 이를 위해 학교 설립과 조직 결성 및 국가건설을 위한 방략들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도산은 국권회복을 위해서 민족운동의 분열과 갈등을 조장하고 있는 ‘주의’나 ‘주장’을 극복하고, 민족운동의 통합된 ‘힘’의 구축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도산은 개인·조직·국가차원의 통합된 힘을 형성함으로써 민족을 위한 독립 국가를 건설하려 한 것이다. 도산의 민족운동의 원형은 독립운동 노선의 통합에 있었으며, 이는 공화제에 입각한 인간혁명을 추론할 수 있는 공간적 토대 위에서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at illuminating features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Dosan An Chang-ho’s national movement activities to restore Korean sovereignty. His national movement can be divided into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around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in 1910 and the national sovereignty restoration movement through an innovation of Korean people’s character. Dosan’s national movement can be characterized as a revolutionary struggle of ‘national power’ to surmount the loss of national sovereignty and colonial realities. As Dosan thought that the loss of national sovereignty arose from the problems of Korean people themselves who failed to modernize their nation due to their preoccupation with ‘lies’ and ‘futile academic discussions,’ he emphasized the necessity of revolutionary power in the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national dimension. Dosan’s national movement focused on accumulating organizational and national capabilities starting from individuals. For the purpose, he suggested ways to found schools, establish organizations and construct a new nation. He laid stress on building an integrated ‘power’ of national movement in order to restore national sovereignty by overcoming ‘isms’ and ‘contentions’ that gave rise to segmentations and conflicts among the independence activists. Besides, Dosan tried to attain the independence by forming the united power in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national level. The archetype of Dosan’s national movement can be traced to his effort to unify diverse independence movement lines and this is judged to be achieved through the space to lead a human revolution on the basis of the republic.

목차

Ⅰ. 서론(문제의 제기)
Ⅱ. 도산의 생애에 나타난 민족운동
Ⅲ. 도산의 혁명적 독립운동 : 힘에서 통합으로
Ⅳ. 결론 : 현대적 의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척수. (2018).도산 안창호의 민족독립운동에 관한 연구. 민족사상, 12 (1), 35-65

MLA

김척수. "도산 안창호의 민족독립운동에 관한 연구." 민족사상, 12.1(2018): 35-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