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철학 이론을 회절하며 유아놀이 관찰 데이터 읽기: 스카프와의 마주침
이용수 507
- 영문명
- Diffractive Readings of Data from Observation of Young Children’s Play Through Philosophical Theories: Encounters with a Scarf
- 발행기관
-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
- 저자명
- 이진희(Jin-Hee Lee) 장윤미(Yoon-Mi Jang)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과정연구』제12권 제2호, 50~72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스카프와 마주친 만 3, 4세 혼합연령 학급 유아들이 생성해간 놀이를 관찰했던 데이터의 생동성에 주목하면서 철학 이론과 함께/통하여 회절하여 분석한 연구자들의 이야기이다. 연구자들은 교실이라는 시공간 속에서 관찰자와의 만남, 스카프라는 물질의 행위주체성, 유아들의 기억과 욕망, 사회문화적으로구성된 의미들이 함께 얽혀 다른 시공간들, 물질-담론적 놀이들이 생기고 사라지고 접속하고 끊어지고 펼쳐지는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Foucault, Deleuze, Barad 등의 이론을 에돌아가며 데이터를 새롭게 배치하면서 내부작용하는 회절적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관찰 데이터의 생명력은 연구자들과 얽혀, 다원적인 이론과 실제, 연구자들의 과거-현재-미래, 유아교실과 대학원 강의실, 인간과 인간 이상의 것사이-내부를 회절하며 지속적으로 경계를 짓고 허물고 새롭게 접속하며 공간시간물질의미화를 이어갔다.
우리는 이론-데이터-함께-사유하기가 놀이 관찰 데이터에 숨어있던 공간, 시간, 물질, 의미의 얽힘을 조명해줄 가능성을 열어줄 것이라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about two researchers’ journey of enlivening the vitality of data from observation of young children’s play with scarves in a mixed-age classroom of 3- and 4-year-olds, by diffractively analyzing data with/through philosophical theories. Researchers endeavored to understand how the encounter with the observer, material agency of a scarf, memories and desires of young children, and discovered that socioculturally constructed meanings were all entangled to generate, disperse, connect, disconnect, and enfold heterogeneous spacetimes and material-discursive plays. Diffractive methodology was adopted to reassemble data while diffracting and intra-acting with theories of Foucault, Deleuze, and Barad. The vitality of play observation data was also entangled with the researchers toward spacetimemattering of data diffracted in-between multiple theories and practices, researchers’ past-present-future, an early childhood classroom and a graduate school classroom, human and non-human, along with our iteratively drawing/blurring their boundaries, and making new connections. We suggest the thinking-with-theory-data would open doors to illuminating the entanglements of space, time, materials, and meanings embedded in the play observation data.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