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원생의 사회적 지지와 성취목표 지향성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이용수 293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s of Hop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mong Graduate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예지(Ye-Ji Kim) 강진령(Jin-Ryung K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8호, 963~97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원생의 사회적 지지와 성취목표 지향성, 희망이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확인하고, 사회적 지지와 성취목표 지향성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 경상 지역에 소재한 일반대학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원생 총 223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성취목표 지향성, 희망을 측정하는 질문지법(Questionnaire Method)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2년 2월 15일부터 4월 10일까지 약 2개월에 걸쳐 실시하였고, 설문 결과는 SPSS 25.0와 AMOS 24.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대학원생의 사회적 지지는 희망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대학원생의 희망은 성취목표 지향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대학원생의 사회적 지지는 성취목표 지향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넷째, 대학원생의 사회적 지지와 성취목표 지향성 간의 관계에서 희망은 부분 매개효과를 가진다. 다섯째, 한국 대학원생과 외국 대학원생에 따라 사회적 지지, 희망, 성취목표 지향성 간의 경로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는 대학원생의 사회적 지지와 성취목표 지향성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대학원생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보다 구체적인 개입방법의 모색과 상담 및 교육 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hope in graduate stud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hop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Methods A total of 223 male and female graduate students attending general graduate schools in Seoul, Gyeonggi, and Yeongnam regions were surveyed to the Questionnaire Method to measure social suppor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hop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or about two months from February 15 to April 10, 2022.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4.0 programs.
Results First, the social support of graduate students has a positive (+) effect on hope. Second, graduate students' hopes have a positive (+) effect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hird, the social support of graduate students has a positive (+) effect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graduate student's social support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s partially mediated by their hope. Fifth,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ath of social support, hop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ccording to Korean graduate students and foreign graduate students.
Conclusions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the mediating effect of hope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graduate students, which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of counseling and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인문 고전 읽기 수업의 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낙관성, 그릿, 진로결정 간의 경로분석
-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어려움에 대한 대학생의 배경변인별 차이 분석
- 인공지능 BERT 모델 기반 텍스트 임베딩과 클러스터링을 활용한 국내 경제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정서적 지원과 애착이 학교폭력 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 작가되기’ 프로그램이 초등 고학년 학생의 인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호주와 캐나다의 교장 양성교육 비교연구
- 우리나라 문화재의 3차원 모델링에 관한 수업 사례 연구
- 교사의 메타버스 활용 미술 감상교육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연구
- Dialogflow를 이용한 영어 교과서 연계 과제형 챗봇 개발
- 대학생의 사회불안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 초등 수학 교육과정별 원의 넓이 지도 내용과 지도 방법 분석
-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선행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및 진로적응력의 매개효과
- 아동기 부정적 경험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의사소통 방식의 매개효과
- 중국 고등학교 「사상정치」 교과서의 시장실패 양상 분석
-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실태와 비대면 온라인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 대학 전공능력 측정 및 활용 방안 연구
- 유아교사의 보수에 대한 인식 및 실태와 보수만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잠재프로파일 분석(LPA)을 활용한 어린이집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유형 탐색
-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도 변화궤적과 학교요인의 동시 및 지연효과 연구
- 2022 개정 교육과정 및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선택과목으로서 미용교과 수요자 요구조사 및 구조화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18호 목차
-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가치와 태도를 담아내는 방법
- COVID-19 스트레스가 학령기 후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직업계고 실습수업 개선을 위한 참여 관찰 조사 연구
- 간호대학생의 도덕적 민감성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Analyzing Collaborative Talk in a Student Managed Task-based Fine Art Activity
-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 직무수행효능감, 진로성숙도의 구조적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분석
- 디스토피아 소설의 문학교육적 함의 및 교육 방안 연구
-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생태전환교육 적용 방안
- 텍스트 유형에 따른 고등학생의 추론적 이해 차이
-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표현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영어수업에서 교수-학생의 상호작용이 학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원생의 사회적 지지와 성취목표 지향성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 국내 진로분야의 삶의 의미 연구 동향 분석
- 예비보육교사가 보육실습에서 만난 영유아와의 경험에 대한 의미
- 백워드 단원 설계를 통한 다문화 교실 수업의 실천 방안
- 중등 예비교사의 교직 적⋅인성 분석 연구
- 어머니의 부모감독이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 교육과정 기반 마을교육공동체와 교육복지사업 연계 사례
-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공격성, 우울감이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 뉴노멀 시대 대학생들의 불안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연구
- 청소년의 성취목표지향성,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 청년 사회활동에서 배움의 의미 탐색을 위한 질적 사례연구
- 코로나19로 변화된 어린이집 일상경험에 관한 연구
- 대학생의 사회불안과 인지적 유연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진로와 직업 교과를 가르치는 저경력 교사의 수업 전문성 탐구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정서 관련 척도 연구의 동향 분석
- 임상간호사의 역할갈등과 조직효과성, 간호업무수행에 관한 연구
- 중학생의 정서조절능력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또래관계 질의 매개효과
-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분노대처방식과 행복감과의 관계
- 영유아의 보육⋅사교육비 지출 실태와 비용 결정 요인
- 2022 개정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의 효과적인 설계와 실천
- 일반계 고등학교에서의 고교-대학 연계 시-영상 통합 수업이 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
- 패러디 그림책 활용 스마로그형 영어 독서 활동이 초등학생의 비판적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