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 직무수행효능감, 진로성숙도의 구조적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분석
이용수 359
- 영문명
-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atisfaction of Major, Job Performance 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서동미(Seo, Dongmi) 백승학(Baek, Seunghak) 엄은나(Eom, Eunn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8호, 95~11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 직무수행효능감, 진로성숙도의 구조적 관계와 자아탄력성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방법 경기 지역의 3년제 유아교육과 재학생 191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변인 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관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였다. 조절효과 분석은 비메트릭 변수에 의한 차이검증으로 다중집단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다.
결과 첫째, 전공만족도와 직무수행효능감, 진로성숙도, 자아탄력성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전공만족도는 직무수행효능감과 진로성숙도 각각에 직접효과를 가지며, 직무수행효능감은 진로성숙도에 직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공만족도는 직무수행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간접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탄력성이 높은 집단의 경우, 전공만족도는 진로성숙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직무수행효능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직무수행효능감은 진로성숙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자아탄력성이 낮은 집단의 경우, 전공만족도는 진로성숙도와 직무수행효능감 모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수행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전공만족도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에만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교원양성기관에서의 예비유아교사 진로교육이 전공만족도와 직무수행효능감을 실질적으로 높일 수 있는 내용과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자아탄력성 향상을 위한 심리 진단과 상담 지원 또한 중요함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atisfaction of major, job performance efficacy, and career maturity, an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of 191 student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3-year university in the Gyeonggi region,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to grasp the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For moderating effect analysis,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to verify the difference by non-metric variables.
Result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of major, job performance efficacy, career maturity, and ego-resilience. Second, satisfaction of major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job performance efficacy and career maturity, respectively,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career maturity. In addition, satisfaction of major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career maturity through job performance efficacy as a medium. Third, for groups with high ego-resilience, satisfaction of major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but did not affect job performance efficacy. Job performance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On the other hand, for groups with low ego-resilience, satisfaction of major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oth career maturity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and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through job performance efficacy as a medium. That is,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it was confirmed that only the effect of satisfaction of major on career maturity had a moderating effect.
Conclusions Career education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be conducted with content and methods that can substantially increase satisfaction of major and job performance efficacy, and in addition, it means that psychological diagnosis and counseling support for improving ego-resilience are also importa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인문 고전 읽기 수업의 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낙관성, 그릿, 진로결정 간의 경로분석
-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어려움에 대한 대학생의 배경변인별 차이 분석
- 인공지능 BERT 모델 기반 텍스트 임베딩과 클러스터링을 활용한 국내 경제교육 연구 동향 분석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정서적 지원과 애착이 학교폭력 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 작가되기’ 프로그램이 초등 고학년 학생의 인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 호주와 캐나다의 교장 양성교육 비교연구
- 우리나라 문화재의 3차원 모델링에 관한 수업 사례 연구
- 교사의 메타버스 활용 미술 감상교육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연구
- Dialogflow를 이용한 영어 교과서 연계 과제형 챗봇 개발
- 대학생의 사회불안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 초등 수학 교육과정별 원의 넓이 지도 내용과 지도 방법 분석
- 전문직업적 정체성의 선행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및 진로적응력의 매개효과
- 아동기 부정적 경험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의사소통 방식의 매개효과
- 중국 고등학교 「사상정치」 교과서의 시장실패 양상 분석
- 영양교사의 영양교육 실태와 비대면 온라인 영양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 대학 전공능력 측정 및 활용 방안 연구
- 유아교사의 보수에 대한 인식 및 실태와 보수만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잠재프로파일 분석(LPA)을 활용한 어린이집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유형 탐색
-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도 변화궤적과 학교요인의 동시 및 지연효과 연구
- 2022 개정 교육과정 및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선택과목으로서 미용교과 수요자 요구조사 및 구조화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18호 목차
-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가치와 태도를 담아내는 방법
- COVID-19 스트레스가 학령기 후기 아동의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직업계고 실습수업 개선을 위한 참여 관찰 조사 연구
- 간호대학생의 도덕적 민감성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Analyzing Collaborative Talk in a Student Managed Task-based Fine Art Activity
- 예비유아교사의 전공만족도, 직무수행효능감, 진로성숙도의 구조적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분석
- 디스토피아 소설의 문학교육적 함의 및 교육 방안 연구
-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생태전환교육 적용 방안
- 텍스트 유형에 따른 고등학생의 추론적 이해 차이
- 그림책을 활용한 정서표현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영어수업에서 교수-학생의 상호작용이 학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원생의 사회적 지지와 성취목표 지향성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 국내 진로분야의 삶의 의미 연구 동향 분석
- 예비보육교사가 보육실습에서 만난 영유아와의 경험에 대한 의미
- 백워드 단원 설계를 통한 다문화 교실 수업의 실천 방안
- 중등 예비교사의 교직 적⋅인성 분석 연구
- 어머니의 부모감독이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 교육과정 기반 마을교육공동체와 교육복지사업 연계 사례
-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공격성, 우울감이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 뉴노멀 시대 대학생들의 불안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 연구
- 청소년의 성취목표지향성,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 청년 사회활동에서 배움의 의미 탐색을 위한 질적 사례연구
- 코로나19로 변화된 어린이집 일상경험에 관한 연구
- 대학생의 사회불안과 인지적 유연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진로와 직업 교과를 가르치는 저경력 교사의 수업 전문성 탐구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정서 관련 척도 연구의 동향 분석
- 임상간호사의 역할갈등과 조직효과성, 간호업무수행에 관한 연구
- 중학생의 정서조절능력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또래관계 질의 매개효과
-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분노대처방식과 행복감과의 관계
- 영유아의 보육⋅사교육비 지출 실태와 비용 결정 요인
- 2022 개정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의 효과적인 설계와 실천
- 일반계 고등학교에서의 고교-대학 연계 시-영상 통합 수업이 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
- 패러디 그림책 활용 스마로그형 영어 독서 활동이 초등학생의 비판적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