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河西 金麟厚의 書藝
이용수 39
- 영문명
- A Study on Calligraphy of Haseo(河西) Kim-In-hoo(金麟厚)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저자명
- 유지복(Yoo, Ji-bok)
- 간행물 정보
- 『서예학연구』제41호, 55~88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김인후는 기묘제현의 필첩을 보고 서문을 남겼다. 그 서문 글씨와 내용은 ‘文’이 ‘道’를 표현하는 수단이었던 것처럼 ‘書’ 또한 ‘도’를 실현해나가는 하나의 매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김인후는 사위 조희문과 양자징을 위해 주희의 <무이구곡가>와 이에 대한 해설을 단정한 필치의 해서로 써주었다. 이 글씨의 전체적인 자형은 왕희지 해서에 바탕을 두고 있으나 안진경의 필법도 가미되어있다. 이는 김인후가 왕희지로의 복고 경향을 보였던 16세기 초반 서단의 흐름을 따르는 한편, 충절의 표상으로서 안진경의 획법을 일부 수용했음을 의미한다.
김인후의 글씨 중 가장 대표적인 서체는 초서이다. 그가 기묘제현을 계승한 상징정 인물이므로 단정한 운필을 구사했을 거라 예상되지만, 그의 초서에는 광초에 가까운 明 張弼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김인후는 필세의 기상을 중시하여 그의 초서에 헌걸찬 자태가 두드러진다. 이는 그가 초서를 통해 일탈의 기상을 표출하고자 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조희가 순창에서 경영하던 자신의 정자에 김인후, 정사룡, 신잠을 초대하여 어울릴 당시 남긴 초서 필적이 있다. 이 글씨는 그간 서자가 누구인지 확실치 않았으나, 필적 대조를 통해 김인후가 직접 쓴 초서임을 확인하였다. 이 초서 필적이 그가 직접 필사한 현존 유일작이라는 점에서 목판본 <초서천자문>과 더불어 김인후의 초서를 대표하는 필적으로서 가치가 있다.
영문 초록
Kim-In-hoo wrote the introduction to the Collected Poetry by the Sages of the 1519 Purge. He showed that calligraphy could be a medium for realizing the "Tao" just as the "Writing" was a means of expressing the "Tao". He wrote a "Boating Song of the Nine Bends at Wuyi" by Zhu Xi and wrote an explanation of the poem to his sons-in-law Cho Hee-moon and Yang Ja-jing. The shape of this character is based on the Regular Script of Wang Xizhi, but it is unique that Ahn Jinkyung's style of writing is added.
Kim's cursive script is typical of his calligraphy. His cursive script strongly reflects the influence of Zhang Bi, which is close to the wild cursive script. Kim placed importance on the spirit that appears in the handwriting. His vigorous appearance in cursive script express his deviant spirit through cursive script.
Jo Hui invited Kim In-hoo, Jeong Sa-ryong, and Shin-jam to his pavilion. At that time, one or two people wrote seven poems for them, which is very sensuous. It has not been revealed so far who wrote it, but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a cursive script by Kim. This work remains the only cursive script handwritten by him. Therefore, along with "Thousand-Character Classic in Cursive Style" it is valuable as a representative handwriting of Kim's cursive script.
목차
Ⅰ. 서론
Ⅱ. 載道로서의 서예
Ⅲ. 전래 서풍의 燮容
Ⅳ. 초서를 통한 逸氣의 표출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