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부인 순창설씨에 관한 연구사 검토 및 그 과제
이용수 53
- 영문명
- A Review of the History and Tasks of Researches on Lady Jeong from the Seol Family of Sunchang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저자명
- 김대원(Kim, Dae-won)
- 간행물 정보
- 『서예학연구』제41호, 5~3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조선(朝鮮)의 여류 서화계(書晝界)에 있어 처음을 장식하는 분은 정부인 순
창설씨(淳昌薛氏,1429가503)이 다. 서(書),화(晝)뿐만이 아니라 문(文)에도 뛰어
났던 순창설씨는,그간의 많은 연구와 정부인 순창설씨를 대상으로 한 학회 등
이 열리는 등 많은 성과가 있었다.
그 런 데도 최근에 발간된 몇 권의 전문 서적에는 정부인 순창설씨가 누락되
어 있다. 이에 그간의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연구의 쟁점과 앞으로의 과제를
점거하여보았다.
그간의 연구를 살펴보면,정부인 순창설씨에 관한 연구는 발굴기,성장기,성
숙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발굴기는 비교적 긴 시간인 1930년대부터 1980년대
까 지인데,그만큼 인식의 확대나 보편화가 이루어지지 못했던 시기이다. 193 4
년 정인보(鄭貢普,1892~1950)가 호남 지방을 유람하며「남유기신(南遊寄信)」 을
『동아일보』에 연재한 이후로 최익한(崔益翰,1897~?),김영윤(金榮胤),김기승의
연구와 저작물에 실리기도 하였으나,이후로 별다른 1980년대까지 별다른 연구
가 없었다.
1990년대의 성장기에는 김호년,양만정,이강오,안영배,최실광,국효문 등에
의하여 이전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되었을 뿐만 아니라,1996년
‘정부인 순창설씨의 문학과 예술’이란 주제로 첫 번째 학술대회가 열리기도 하
였다. 여기에는 송준호(宋俊浩),이강오,이가원(李家源,1917~2000),강경훈(姜
景勳) 등이 참여하였다.
2000년대의 성숙기에는 이전보다 연구가 심화되고 전문화되는 경향을 나타
내었는데,이원복,권시숙,정예진,곽노봉,김슬옹,이기범의 연구와 저서가 있
었다.
그간의 연구에 있어서 쟁점이 될 만한 것으로,<광덕산부도암도>의 화풍의
문 제,<십노계첩>에 실린 <십노계첩도>의 문제,서예 부분에서 과제와 정부인
순창설씨 예술혼의 전승 부분까지를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In Joseon, Lady Jeong from the Seol family of Sunchang( 1429~1503) marked the
beginning of female artists in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Excelling in literature as
well as calligraphy and paintings, she has been subjected to an abundance of research.
There have been also many achievements in the study of the artist and her works
including society meetings on her.
Several technical books published recently, however, omit her. This study thus set
out to review research results so far and examine research controversies and future
tasks in the study of her and her works.
Previous studies on her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discovery, growth, and
intensification periods. The discovery period lasted relatively long from the 1930s to the
1980s, which indicates that it was hardly possible to spread or generalize perceptions
during those years. In 1934, Jeong In-bo(1892〜1950) covered her works in his serial
Namyugisin based on his sightseeing around the Honam region in Donga Ilbo. Following
him, Choi Ik-han(1897〜?),Kim Yeong-yun, and Kim Gi-seung included her works in
their researches and publications. Since then, there had been no particular researches
on her works until the 1980s.
During the growth period in the 1990s, more systematic and specific researches
were conducted on her and her works by Kim Ho-nyeon, Yang Man-jeong, Lee Kang-o,
Ahn Yeong-bae, Choi Sil-gwang, and Guk Hyo-mun. Moreover, the first conference was
held on her under the topic of 'literature and art of Lady Jeong from the Seol family of
Sunchang' in 1996. This conference witnessed the participation of Song Jun-ho, Lee
Kang-o, Lee Ga_won(1917〜2000),and Kang Gyeong-hun.
During the intensification period in the 2000s, researches on her showed an
intensification and specialization tendency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There were
researches and books by Lee Won-bok, Gwon Si-suk,Jeong Ye-jin, Gwak No-bong,
Kim Seu-rong, and Lee Gi-beom.
The previous studies had some controversies including her style in her
Gwangdeoksanbudoamdo and Sipnogyecheopdo included in Sipnogyecheop. The study
also examined future tasks for the study of her calligraphic works. The artistic spirit of
Lady Jeong from the Seol family of Sunchang was transmitted to later generations and
made an axis in the art history of Joseon.
목차
1. 서론
2. 연구사 검토
3. 연구 쟁점과 과제
4. 예술혼의 전승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