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세무상 이월결손금과 기업가치의 관계 재분석

이용수  39

영문명
A Re-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 Net Operating Loss and Firm Value
발행기관
한국세무학회
저자명
최보람(Boram Choi) 유지선(Ji Seon Yoo)
간행물 정보
『세무학연구』제38권 제4호, 323~35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회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세무상 이월결손금과 기업가치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연구하였다. 먼저 2012년부터 2019년까지 유가증권시장 상장기업을 표본으로 하여 이월결손금과 기업가치의 관계를 재검증하였다. 다음으로 세무상 이월결손금의 공제한도 축소규정이 이월결손금과 기업가치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고, 기업 규모가 이러한 관계에 추가적인 영향을 갖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기간 동안 이월결손금과 기업가치는 양(+)의 견고한 관계가 있었다. 이는 고윤성(2009)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며 최원욱 외(2019)의 연구와 상반된 결과이다. 기간별, 이연법인세 계상 여부별 하위표본을 이용하여 강건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에서도 이월결손금과 기업가치간 양(+)의 관계가 안정적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2016년 이후 이월결손금 공제한도 감소는 이월결손금과 기업가치의 관계에 추가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 나누어 이월결손금과 기업가치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에서도 기업가치에 대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마지막으로, 이월결손금과 기업가치의 양(+)의 관계는 중소형주보다 대형주에서 더 약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세무상 이월결손금의 부정적 신호가 대형주투자자들에게 더 민감하게 인식되어 이월결손금의 양(+)의 효과를 더 큰 폭으로 상쇄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고윤성(2009)과 최원욱 외(2019)의 연구 외에 거의 진행되지 않은 세무상 이월결손금과 기업가치와의 관계를 최신 재무자료로 재검증하고 세법 개정사항의 효과를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We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 net operating loss (NOL) and firm value. Using a set of firm-year observations of firms listed in the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market for the 2012-2019 period, we first re-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OL and firm value. We then further identify whether the newly introduced limitation on NOL deduction and the firm size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NOL and firm value. Our empirical analysis yields the following three findings. First, NOL shows a consistently positive an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firm value in the period of our analysi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Koh (2009) but contrary to those of Choi et al. (2019). We continue to find a positive and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NOL and firm value when we conduct the robustness analysis using subsamples by the period and the status of deferred tax assets. Second, we did not find evidence of the newly introduced limitation on NOL deduction influe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OL and firm value. No significant incremental effect of the limitation is identified from the analysis by years. Lastly,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NOL and firm value is found to be weaker in firms with higher market values (i.e., larger firms) than in firms with lower market values (i.e., smaller firms). The investors in the stock market tend to be more sensitive to the bad signal of NOL of larger firms. Therefore, we interpret our results as that the adverse effects of NOL offse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NOL and firm value to greater extant in larger firms than in smaller firms. We contribute to the relevant research by scrutinizing the merely explored research area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OL and firm value, especially using the most recent financial data of firms. Our study also provides political implications by testing the effects of the tax amendm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Ⅲ. 연구 모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보람(Boram Choi),유지선(Ji Seon Yoo) . (2021).세무상 이월결손금과 기업가치의 관계 재분석. 세무학연구, 38 (4), 323-355

MLA

최보람(Boram Choi),유지선(Ji Seon Yoo) . "세무상 이월결손금과 기업가치의 관계 재분석." 세무학연구, 38.4(2021): 323-3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