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매도의 과세체계 개선방안 연구

이용수  25

영문명
A Study on Improvements to the Taxation System of Short Sale
발행기관
한국세무학회
저자명
오윤(Oh, Yoon) 임동원(Lim, Dong-won) 문성훈(Moon, Seong-hoon)
간행물 정보
『세무학연구』제38권 제4호, 241~25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회계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23년부터 정부는 전면적인 ‘금융투자소득’과세를 시행할 예정이지만, 공매도에 대한 과세는 포함되지 않았다. 소득 있는 곳에 과세하여야 한다는 과세형평주의 원칙과 주요 외국의 공매도 과세사례를 볼 때 우리나라도 개인의 차입공매도에 의한 이득을 과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매도 과세방안을 세가지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첫 번째, 주식양도소득 과세방안은 외관상 주식을 양도하여 얻는 이득이라고 볼 수 있는 점을 중시하여, 공매도손익을 주식양도손익과 통합하여 과세할 수 있는 방안이다. 두 번째, 파생상품양도소득 과세방안은 파생상품양도소득 규정이 ‘거래 또는 행위로 발생’의 개념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일련의 차입공매도상환에 따른 손익에 대한 과세를 규정하기 용이하다. 세 번째, 기타소득 과세방안은 공매도손익을 주식양도소득이나 파생상품양도소득으로 보기 곤란하지만 과세당위성 측면에서 기타소득으로 과세하자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2023년 금융투자소득과세제도의 시행과 함께 공매도 손익을 금융투자소득 중 파생상품양도소득의 한 종류로 편입해야 한다. 금융투자소득의 시행이 1년여 남은 시점에서 과세상 필요에 따라 다른 소득으로 과세하는 것은 납세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공매도에 의한 손익은 자본자산의 처분에 의한 손익이기는 하지만, 미래가격변화에 대한 투기적 투자활동에 의한 소득이라는 점에서 파생상품소득에 가까운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점과 파생상품양도소득규정이 공매도손익을 규정하기 쉽고 비용을 합리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영문 초록

From 2023, the government plans to implement a full taxation of ‘financial investment income’, but taxation on the short sales is not included. Considering the principle of equality of tax that the taxation should be given where income is located and the taxation of short sales in major foreign countries, Korea also needs to tax the gains from the short sale by individuals. In this study, three methods of taxation of the short sale were proposed. First, the taxation plan for stock transfer income is a method that can be taxed by integrating the gains and losses from the short sale with the gains and losses from stock transfers, emphasizing the fact that it can be viewed as a gain from the transfer of stocks. Second, as for the taxation method on derivatives transfer income, it is easy to regulate the taxation of gains and losses resulting from a series of the short sale repayments because the rules on derivative transfer income use the concept of ‘accounted for by a transaction or act’. Third, the taxation of other income is that it is difficult to view the gains from the short sale as stock transfer income or derivatives transfer income, but it should be taxed as other income in terms of justification for taxation. In conclusion,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financial investment income taxation system in 2023, short-selling gains and losses should be included as a type of derivative transfer income among financial investment income. This is because it may confuse taxpayers to tax other income as necessary for taxation at a time when financial investment income is implemented with more than one year left.

목차

Ⅰ. 서론
Ⅱ. 공매도의 과세 현황
Ⅲ. 공매도 관련 외국 세제
Ⅳ. 공매도 손익의 과세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윤(Oh, Yoon),임동원(Lim, Dong-won),문성훈(Moon, Seong-hoon) . (2021).공매도의 과세체계 개선방안 연구. 세무학연구, 38 (4), 241-259

MLA

오윤(Oh, Yoon),임동원(Lim, Dong-won),문성훈(Moon, Seong-hoon) . "공매도의 과세체계 개선방안 연구." 세무학연구, 38.4(2021): 241-2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