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제에 따른 조리전공 대학졸업생의 개인배경, 대학생활, 취업준비활동 요인이 취업 여부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0
- 영문명
- The Effect of Personal Background, College Life, and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Factors on Employment Status of College Graduates majoring in Culinary Arts according to The School System
- 발행기관
- 한국식공간학회
- 저자명
- 나태균(Na, Tae-Kyun)
- 간행물 정보
- 『식공간융합연구』17권 2호, 77~9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조리를 전공한 대학졸업생의 취업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최근 3년 동안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하는 GOMS에 참여한 350명의 조리전공 대학졸업생의 설문자료를 최종 분석을 위해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리전공 대학졸업생의 성별, 연령, 건강 상태 부모의 학력과 같은 개인배경 요인은 학제에 상관없이 졸업생의 취업 여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3년제 전문대학 졸업생의 경우, 학점, 전공 만족도, 일자리 경험 횟수, 자격증 취득 여부는 졸업 후 조리전공자의 취업 여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일자리 경험 여부, 구직활동 경험 여부는 취업 여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4년제 대학교 졸업생의 경우, 학점, 교육훈련 여부, 자격증 취득 여부는 취업 여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구직활동 경험, 자격증 수는 취업 여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학은 졸업생 개개인의 학제, 대학생활, 취업준비활동에 따른 개인 맞춤형 취업 지도를 해 나가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determine if college graduates majored in culinary arts will be employed.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survey data of 350 culinary arts-related graduates who participated in the GOMS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for the past three years.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sonal background factors such as gender, age, health status, and parental educational background of graduates did not affect their employment status regardless of their school system. Second, in the case of 2-3 year college graduates, the grades, major satisfaction, number of job experiences, and status of acquiring licens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employment status. However, the status of job experience and experience of job-seeking activitie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ir employment status. Third, in the case of 4-year university graduates, the grades and status of acquiring licens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employment status. On the other hand, the experience of job-seeking activities, training experience, and the number of certificates obtained had a negative effect on their employment status. Therefore, guiding employment for graduates at the university should provide individualized employment approach depending on their school system, college life, and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