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식 선택속성이 소비자태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45
- 영문명
- The Effects of Selection attribute of Korean food on Consumer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 발행기관
- 한국식공간학회
- 저자명
- 박정미(Jeong-Mee Park)
- 간행물 정보
- 『식공간융합연구』17권 2호, 25~4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소비자들의 한식메뉴를 구매할 때 고려하는 선택속성을 파악하여 한식에 대한 소비자 태도와 행동의도와의 영향관계를 도출하는것에 그 목적이 있다. 설문은 자기기입식 온라인 설문조사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2022년 4월14일부터 5월4일까지 진행되었다. 수거된 설문 답안은 총 229부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코딩된 데이터는 SPSS 24.0을 사용하였으며 표본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다음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여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선형회귀분석(linear regression analysis)으로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선택속성은 건강, 실용성, 품질의 3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고, 행동의도는 재구매와 긍정적인 구전을 포함한 단일차원으로 연구하였다. 선택속성 요인 중 건강과 실용성은 소비자태도에 정(+)의 영향관계가 나타나 부분채택 되었다. 한편 소비자 태도와 행동의도는 높은 영향관계가 도출되어 선행연구의 결과를 지지하였고, 선택속성의 3가지 요인은 행동의도와 정(+)의 영향관계가 도출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on Korean food by grasping the selection attributes consumers in Korea consider in purchasing Korean foo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4 to May 4, 2022 by collecting data using a self-administered online survey questionnaire A total of 229 questionnaire answers collected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SPSS 24.0 was used for the coded data, and 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Nex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Finall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verified by linear regression analysis. In the result, the selection attributes was found in three factors: health, practicality, and quality, and behavioral intention was studied in a single dimension, including repurchase and positive word of mouth. Among the factors, health and practicality were partially adopted due to a positive (+) influence on consumer attitudes. On the other hand, a high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consumer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supporting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the three factors of the selection attributes had a positive impact on behavioral inten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