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커피 원두의 온라인과 오프라인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41
- 영문명
- The effect of online and offline characteristics of coffee beans on purchase intention: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
- 발행기관
- 한국식공간학회
- 저자명
- 김계영(Kim, Gye-Yeong) 이기성(Lee, Ki-Seoung)
- 간행물 정보
- 『식공간융합연구』17권 2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8.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커피 원두를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오프라인의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와 지각된 가치에 따라 구매의도에 미치는 조절효과 관계를 규명하였다. 설문조사는 구글 온라인 설문지의 SNS를 통하여 375부를 한정하여 SPSS 21.0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로 첫째, 온라인 특성의 정보제공과 사용편리가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오프라인 특성의 커뮤니케이션과 유대관계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지각된 가치에 따라 온라인 특성의 정보제공과 사용편리가 구매의도에 조절효과가 있었다. 넷째, 지각된 가치에 따라 오프라인 특성의 커뮤니케이션과 유대관계는 구매의도에 조절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소비자는 커피를 제품 자체로만 평가하지 않으므로 온·오프라인의 요인에 대한 지각된 가치를 제공하여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높여야 한다. 이를 통해 커피 산업의 유통채널에 대한 자영업자와 커피 유통산업 분야에서 차별화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how on- and offline characteristics affect purchase intention and moderating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perceived values targeting consumers having bought coffee beans. The survey was limited to 375 copies of the Google online questionnaire via SNS and used the program of SPSS 21.0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analysis showed that first, information provision and ease of use of online characteristics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Second, offlin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and 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ird, according to perceived values, information provision and convenience of use of online characteristics had a moderating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Fourth, communication and ties of offline characteristics had a moderating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perceived values. They indicate consumers make purchases by reflecting subjective evaluation of the individual for some reason and affect the selection of distribution channels for coffee beans. Therefore, since consumers do not evaluate coffee only as a product itself, it is necessary to provide perceived values for on-and offline factors so that consumer purchase intention may increase. In this study, we intend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build strategic difference that may benefit small businesses and distribution channels in the coffee distribution industr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