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Study Geo-Cultural Developments of the Central Asia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Geo-Cultural Developments of the Central Asia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최한우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6권 제2호, 39~5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12.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991년 소련해체와 동시에 중앙아시아에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타직키스탄 등 신생 5개국이 독립하였다. 페르시아계 타직키스탄을 제외하면 이들 국가는 카스피 해 연안국가 아제르바이잔과 더불어 종족적으로 튀르크계 국가를 형성하고 있다. 종교적으로 이슬람교 국가이면서 종족적으로 대개 터키와 같이 알타이 계열 튀르크계 국가인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정체성 및 향방에 대하여 대내외적으로 많은 논란이 있었다. 과연 이들 중앙아시아 국가들이 어느 방향으로 발전할 것인가? 이 문제를 심도있게 이해하고 중앙아시아 제 국가의 향방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중앙아시아의 지리전략(geo-strategic)측면과 지리문화적 및 역사적 발전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슬람-튀르크 민족 거주 지역인 중앙아시아는 스키타이 족으로 시작하여, 그리스 및 페르시아 제국 등을 거치면서 고대에 인도 유럽계 정착민족의 거주 지역이었으나, 흉노 및 돌궐 등 튀르크족이 이곳으로 유입되면서 유목민족적 요소와 정착민족적 요소가 상호 갈등하면서 다시 또 정착민족화하는 과정을 겪어왔다. 서기 10-11세기 이슬람화가 정착되어 가면서 정착문명화는 가속화되어, 카라한조, 가즈나비조, 셀축조, 티무르조 등을 거치면서 튀르크 이슬람 문명이 자리잡게 되었다. 또한 근대에 들어서는 중앙아시아에 대한 러시아의 지배가 체계화되면서, 유목민족적 전통과 이슬람적 전통 위에 발달한 중앙아시아는 러시아 및 소비에트 문화의 적지 않는 영향을 받게 되었다. 한편 중앙아시아는 지정학적으로 중동이슬람 문명, 인도문명, 슬라브 러시아문명, 중국문명 등이 교차하는 유라시아 대륙 중심부에 위치해 있다. 실크로드 중심부에 위치한 중앙아시아는 역사적으로 이러한 세계 거대문명의 역동적 상호교류의 산파역할을 하였다. 결과적으로 중앙아시아는 유목문명을 기저층(substratum)으로 하여 이슬람문화가 발달하였으며, 소위 소비에트종족 집단화를 추구한 소비에트 슬라브문화가 하나의 방층(abstratum)을 형성하였다. 이와 더불어 세계 거대 문명들의 상호교류의 산실로써 중앙아시아를 고려할 때, 우리는 왜 중앙아시아가 다른 이슬람권의 향방과 상이할 수 밖에 없는가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배경과 맥락에서 중앙아시아의 지문화적(geo-cultural) 발달과정을 다루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 Substratum of the Nomadic Altaic Culture
Ⅲ. The Development of the Islamic Persian-Turk Culture in the Medieval Period
Ⅳ. The Symbiosis of Nomadic and Sedentary Life
Ⅴ. The Influence of the Russian-Soviet Culture in the Modern Period
Ⅵ. Conclusion
Bibliography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본과 한국의 방위비분담 정책체계의 연구
- 한국기업의 중국시장 진입모형 決定要因에 관한 연구
- 전통시대 말레이 왕권의 이념과 실제
- 체제전환국 경제개혁의 성장률 효과 분석
- A Study Geo-Cultural Developments of the Central Asia
- 양자간 투자협정에 대한 미국의 정책
- Some Buddhist Lessons in the Asian Values Debate
- 실물유로화의 통용과 유럽관광시장의 통합
- 일본계 은행 자금의 유출입이 태국의 외환위기에 미친 영향
- Role of Academic Institutions, Research Centers and Associations in the Development of Korean-Arab Relations: A Korean Perception
- 일본의 수산기본법에 관하여
- 독일제국의 비상시 국민경제안정대책과 문제
- A Critical Analysis on the Corporate Welfare Policy in America
- ‘이탈리아 남부’의 발명과 해체
- [부록] 국제지역학회 정관 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