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ome Buddhist Lessons in the Asian Values Debate
이용수 0
- 영문명
- Some Buddhist Lessons in the Asian Values Debate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KIM, Hong-Koo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6권 제2호,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12.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일반적으로 아시아적 가치 담론은 중국인이 다수 집단을 차지하는 싱가포르에서 기원한 결과 주로 유교자본주의와의 관련 속에서 이해되고 있다. 지금까지 유교를 제외한 아시아의 다른 주요한 종교-불교, 이슬람교 등-에서 나타나는 아시아적 가치에 대한 연구는 도외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아시아는 매우 다양하고 복합적인 곳이기 때문에 아시아적 가치라는 말을 유교문화와 관련시켜 그 개념을 단편적으로 이해한다면 올바른 인식의 부재현상이 초래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동남아시아의 대표적 상좌부 불교 국가인 태국의 불교가 정치에 미친 영향을 역사적․문화적 맥락에서 살펴봄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유교에 제한되어 전개되고 있는 아시아적 가치 논쟁의 지평을 확대시키려는 의도로 작성되었다. 불교적 왕권은 쑤코타이 왕조이래 오늘날까지 태국 정치체제에 일관되게 정당성의 원리를 제공해 주고 있다. 오늘날의 태국 정치체제에 대한 이해는 불교를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 정치문화에 대한 이해 없이 일반적인 정치이론만으로는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많다. 최근 전개되고 있는 아시아적 가치를 둘러싼 논쟁에서 핵심적 질문은 아시아적 가치가 민주주의와 발전에 대해서 갖는 함의에 모아지고 있다. 서구식 자유민주주의가 아시아적 가치와 모순되는가를 놓고 보편주의적 시각과 문화적 상대주의 시각이 대립하고 있다. 따라서 아시아 국가이면서도 불교국가로서 서구 식민지 경험이 없고 불교적 왕권체제를 유지하면서 정치발전과 경제발전 양면에서 성공한 사례에 속하는 태국에 대한 연구는 현재 아시아적 가치 담론과 관련해 제기되고 있는 주요 쟁점 즉, 보편주의자 대 문화적 상대주의자간의 논쟁에 일정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목차
Discourse ‘Asian Values’ and Buddhism
Buddhist Kingship : Dhammaraja
Dhammaraja vs. Devaraja
Modernization and the reinforcement of the traditional Buddhist kingship
Introducing the constitutional monarchy : Democratic regime with the Buddhist King as the Head of the State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본과 한국의 방위비분담 정책체계의 연구
- 한국기업의 중국시장 진입모형 決定要因에 관한 연구
- 전통시대 말레이 왕권의 이념과 실제
- 체제전환국 경제개혁의 성장률 효과 분석
- A Study Geo-Cultural Developments of the Central Asia
- 양자간 투자협정에 대한 미국의 정책
- Some Buddhist Lessons in the Asian Values Debate
- 실물유로화의 통용과 유럽관광시장의 통합
- 일본계 은행 자금의 유출입이 태국의 외환위기에 미친 영향
- Role of Academic Institutions, Research Centers and Associations in the Development of Korean-Arab Relations: A Korean Perception
- 일본의 수산기본법에 관하여
- 독일제국의 비상시 국민경제안정대책과 문제
- A Critical Analysis on the Corporate Welfare Policy in America
- ‘이탈리아 남부’의 발명과 해체
- [부록] 국제지역학회 정관 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