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vitalization of Jangmadang on North Korean companies - Based on the recogni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
- 발행기관
- 한국통일전략학회
- 저자명
- 이용희(Lee, Yong-Hee)
- 간행물 정보
- 『통일전략』20권 3호, 73~115쪽, 전체 4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10.31
                
                
                    7,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북한체제 내에서의 민간시장의 변천 과정과 1990년대 중반 이후 민간시장(장마당)의 활성화 과정에 대하여 연구조사하였으며, 이와 함께 북한 기업소의 변천 과정을 연구조사하였다. 그리고 장마당의 활성화가 기업소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탈북민 173명을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장마당과 기업소에 관한 실태조사 결과를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북한의 기업소가 이전보다 훨씬 열악한생산환경에 처해있으며 북한 주민들은 기업소보다는 장마당에 더 의존적이라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북한 기업소는 1990년대 몰락하여 가동률이 20%대로 떨어졌지만, 2000년대 장마당이 활성화되면서 장마당에서 축적된 돈주들의 자금이 기업소의 생산자금으로 사용되었고, 기업소는 다시 가동되기 시작했다. 돈주가 기업소와 단합하여 직접 기업소를 운영하여 발생한 수익을 돈주와 기업소가 나누는 상황이되었고, 이러한 수익으로 기업소는 근무하는 노동자들에게 임금을 지불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 돈주들은 무역업, 운송업, 건설업, 제조업, 금융업 등 다양하게 투자 범위를 넓히고 있으며 많은 부분 기업소와 협력관계를 이루고 있다. 장마당에서 형성된 자본이 기업소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면 향후 북한경제 발전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conducted research on the process of private market change within the North Korean regime and the process of revitalization of private market (Jangmadang) after the mid-1990s, along with the process of change of North Korean enterprises. In addition, the survey of 173 North Korean defectors analyzed the results of a survey on Jangmadang and state-owned companies in order to find out the impact of the vitalization of Jangmadang on state-owned companies. The survey results empirically showed that state-owned companies in North Korea are in a much worse production environment than before, and that North Koreans are more dependent on Jangmadang than on state-owned companies. North Korean state-owned companies collapsed in the 1990s and their operating rates fell to the 20 percent range, but as Jangmadang became active in the 2000s, money accumulated in Jangmadang was used as production funds for the state-owned companies, and the companies were able to operate again. The profits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the state-owned companies have become divided between the Donju and the companies, and these profits have allowed the companies to pay wages to the companies’ workers. Recently, Donju have expanded their investment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trade, transportation, construction, manufacturing and finance, and have partnered with many businesses. If the capital formed in Jangmadang can be used effectively through the state-owned companies, it will contribute to develop the North Korean economy in the futur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