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스태그플레이션 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이용수  4

영문명
An Empirical Method Identifying Real-time Stagflation Pressure in Korea: Focusing on Activating Monthly Data
발행기관
국제지역학회
저자명
이정욱(Jeong Wook Lee) 강삼모(Kang, Sam Mo)
간행물 정보
『국제지역연구』제16권 제1호, 141~17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3.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00년 이후 오늘날에도 중국, 인도 등을 비롯한 신흥시장국의 경제규모가 날로 확대되면서 국제적으로 석유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해온 반면 그 공급은 주요 산유국인 중동국가의 정세불안 등으로 차질이 발생하는 상황이 빈발함에 따라 스태그플레이션 위험은 항상 개연성이 높은 경제현상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 사람들이 고유가가 지속되는 시기에 흔히 높은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가 공존하는 현상을 스태그플레이션으로 쉽게 거론하더라도 스태그플레이션에 관한 학술적인 정의는 분명하지 않으며 현실적인 경제통계의 흐름을 보고 그러한 상황을 식별하기도 쉽지 않다. 본고에서는 경기국면으로서 스태그플레이션의 상황을 보다 구체적으로 정의한 연구사례들을 면밀히 살펴보고 월별로 조기에 입수 가능한 경제통계들을 종합하여 스태그플레이션의 상황을 체계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경기상황, 인플레이션 상황을 나타내는 월별 통계지표를 이용하여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을 나타내는 정도를 평가한 후 이 결과를 종합하여 스태그플레이션 종합지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한국에서 스태그플레이션 여부에 대한 논란이 많았던 2008년 상반기가 엄밀한 의미에서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은 아니었음을 규명하였다.

영문 초록

Even though many people loosely term a period of high inflation combined with stagnation “stagflation”, it has been very difficult for us to find a more detailed and theoretical definition for such a period. In addition, most economic policy makers have faced some uncertainty and difficulty in identifying stagflation periods through analyzing a lot of economic data. This paper deeply researches the literature on specific definitions of stagflation and provides an empirical method by which we can systematically identify real-time stagflation pressure. Under this method, real-time stagflation pressure can be evaluated as a complex index by using both extensive monthly economic data indicating economic conditions or inflation pressure and a logit regression model. As a result of applying this method to the first half of 2008 in Korea when there was much debate as to whether the Korean economy was experiencing a corresponding stagflation or not, this period is not now evaluated as having been a stagflation period. This paper provides some implications. Namely, we need to put more emphasis on stabilizing inflation expectations.

목차

Ⅰ. 서론
Ⅱ.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이론적 고찰
Ⅲ. 스태그플레이션 압력 진단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욱(Jeong Wook Lee),강삼모(Kang, Sam Mo) . (2012).한국 스태그플레이션 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국제지역연구, 16 (1), 141-171

MLA

이정욱(Jeong Wook Lee),강삼모(Kang, Sam Mo) . "한국 스태그플레이션 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국제지역연구, 16.1(2012): 141-1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