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의 저성장과 ‘중진국함정론’에 근거한 위기요인 분석
이용수 5
- 영문명
- China’s Economic Slow-down and the Middle-Income Trap Controversy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김의동(Kim, Eui Dong)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20권 제2호, 113~14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해 중진국 함정 논의의 주요 근거들을 추출하고 이들 근거를 중국경제 현실에 적용하여 ‘중국 중진국 함정 논의’의 객관적 근거와 위기 요인을 우선 확인해 보려 하였다. 그런 다음 향후 함정에 빠지지 않기 위해 중국이 어떤 경제개혁을 추진해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중요한 과제로 삼고 있다. 함정 유발 요인에 대한 선행 연구 검토 후 추출한 6가지 핵심 요인을 준거로 삼아 중국 경제에 대응시켜 본 결과 중국경제가 중진국 함정에 빠질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 중대한 전환점에 서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과잉투자’-‘과잉설비’에 따른 ‘TFP 지속감소, ‘인구보너스 소멸과 고령화’, ‘경제주체별 과다 부채와 기업구조조정 및 금융불안정’, ‘소득불균등 확대’, ‘정보통신 확산과 금융 인프라 접근성 및 투명성 지수 등 사회적 자본 미비’ 등의 문제가 큰 우려요인으로 등장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이들 위기 신호들은 모두 지금까지의 중국이 추진해 온 성장모델, 즉 요소투입형 성장과 정부주도 부채의존형 성장모델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정부실패 교정을 필요로 하는 것들임을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함정을 피하기 위한 중국 정부의 정책방향은 대체로 제대로 설정된 상태이지만 이행과정이 쉽지 않다는 증거가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었다. 결국 지금까지의 각종 ‘정부 실패’를 수정할 수 있는 정부 차원의 혁신에만 매달려서는 명확한 한계에 봉착할 수 있으므로 어떻게든 시장의 자체적인 상시 구조조정 능력이 배양될 수 있는 틀을 만들어 내는 것이 중국의 경우 더 없이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2015년부터 위안화 SDR 편입이 확정되면서 대외적 측면에서도 큰 제약에 직면할 수밖에 없어 향후 중진국 함정 탈출을 위한 정책지향은 더욱 큰 제약에 직면할 수 있음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first extracts the main basis for the Middle-Income Trap(MIT) to apply these grounds to reality of the Chinese economy. And then confirmed crisis factors of China economy. Also discussed then the economic reforms of China in order to not fall into the MIT. After reviewing previous research extracted six factors the results will correspond to comply with the Chinese economy. Those are ‘Over-investment’, ‘excess capacity’ ‘reduction of TFP continued,’ ‘disappearance and the aging of the population bonus’, ‘excessive debt and structural adjustment and financial instability of the company’, ‘income unequal expansion’, ‘low financial and information infrastructure accessibility‘, and ‘low transparency index’. China's policy direction to avoid the MIT generally set properly, but proof that implementation process not easy, was appearing everywhere. After all, China economy should be modified now to a reforms of ‘government failure’ and promotion of function for ongoing restructuring system in the market. Because of the SDR incorporation from 2015, it is inevitable to face major constraints in the external aspects.
목차
Ⅰ. 연구 목적과 필요성
Ⅱ. 선행연구 검토 및 중국경제 저성장 요인
Ⅲ. ‘중진국함정론’에 근거한 중국경제 위기 요인
Ⅳ. 중진국 함정 요인들에 대한 대응전략 평가
Ⅴ. 함의와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의 저성장과 ‘중진국함정론’에 근거한 위기요인 분석
- 생산요소가격의 변화가 제조산업 마크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 미국의 통화정책이 아시아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 Investigation on the Health Inequality in China
- 수출제조기업의 효율성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 광역 도시계획 시설의 조성을 위한 국내외 도시 간 협력 방향에 관한 연구
- Looking Back to the European Disputes over the Second Iraqi War:Lessons Learned from the Division of Public Opinion in Europe
- 국제교류협력 확대를 위한 지방정부의 효율적인 해외사무소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한국 화장품 브랜드 광고모델인 한류 스타 특성이 한류 스타 애착 및 브랜드 진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과 대만 반도체기업들의 중국내 직접투자 배경과 과정에 대한 비교사례연구
- 인더스트리 4.0 시대의 전략적 제조-서비스 융합을 통한 경제효과분석 및 정책수요시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