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출제조기업의 효율성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Determinants of Export Manufacturing Firm Efficiency: Focusing on R&D Intensity in a KOSDAQ-listed Firm
- 발행기관
- 국제지역학회
- 저자명
- 황경연(Hwang, Kyung-Yun) 구종순(Jongsoon Koo)
- 간행물 정보
- 『국제지역연구』제20권 제2호, 63~8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출제조기업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이러한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DEA를 활용한 수출제조기업의 효율성 분석에는 투입변수로 종업원수와 자본을 활용하고 산출변수로 매출액을 활용하였다. 수출제조기업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존 실증연구를 기초로 연구개발집약도, 수출집약도, 인건비비율, 일반관리비비율, 총자산, 유동성 및 자기자본비율을 선정하였다. 실증분석에는 369개 코스닥 수출제조기업의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년간 패널자료를 활용하였다. 패널 Tobit 회귀분석을 활용한 실증분석결과 중에서 코스닥 수출제조기업 전체를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에서는 연구개발집약도, 인건비비율, 총자산 및 자기자본비율이 CCR효율성과 BCC효율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수출집약도가 CCR효율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닥 수출제조기업 중 대기업을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에서는 연구개발집약도가 CCR효율성과 BCC효율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수출집약도, 인건비비율 및 자기자본비율이 CCR효율성과 BCC효율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일반관리비비율이 BCC효율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닥 수출제조기업 중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에서는 연구개발집약도, 인건비비율, 총자산 및 자기자본비율이 CCR효율성과 BCC효율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efficiency in a KOSDAQ-listed manufacturing firm. We use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to estimate the efficiency of the export manufacturing firm. We employ two inputs (number of employees, equity) and one output (sales) in the DEA. The determinants of export manufacturing firm efficiency are estimated using the panel Tobit model. An analysis of 369 export manufacturing firms from 2013 to 2015 indicate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R&D intensity, the wage and salary intensity, total asset, and equity ratio each had a negative impact on both the CCR and BCC efficiency scores. However, export intensity had a negative impact on CCR efficiency scores in a KOSDAQ-listed total export manufacturing firm. Second, the R&D intensity had a positive impact on both the CCR and BCC efficiency scores, but export intensity, the wage and salary intensity, and equity ratio each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CCR and BCC efficiency scores in a KOSDAQ-listed large export manufacturing firm. Third, the R&D intensity, the wage and salary intensity, total asset, and equity ratio each had a negative impact on both the CCR and BCC efficiency scores; respectively, in a KOSDAQ-listed small and medium export manufacturing firm.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모형 및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국의 저성장과 ‘중진국함정론’에 근거한 위기요인 분석
- 생산요소가격의 변화가 제조산업 마크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 미국의 통화정책이 아시아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
- Investigation on the Health Inequality in China
- 수출제조기업의 효율성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 광역 도시계획 시설의 조성을 위한 국내외 도시 간 협력 방향에 관한 연구
- Looking Back to the European Disputes over the Second Iraqi War:Lessons Learned from the Division of Public Opinion in Europe
- 국제교류협력 확대를 위한 지방정부의 효율적인 해외사무소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 한국 화장품 브랜드 광고모델인 한류 스타 특성이 한류 스타 애착 및 브랜드 진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과 대만 반도체기업들의 중국내 직접투자 배경과 과정에 대한 비교사례연구
- 인더스트리 4.0 시대의 전략적 제조-서비스 융합을 통한 경제효과분석 및 정책수요시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