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2의 직업을 찾은 사람들의 변화 욕망과 삶의 전환에 나타난 평생교육적 함의
이용수 305
- 영문명
- The Lifelong Educational Meaning Found in Desire for Change and Life Change of People who Found Their Next Job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 저자명
- 정희선(Heesun Jung) 이성엽(Sungyup Yi)
- 간행물 정보
- 『교육컨설팅코칭연구』제6권 제2호, 27~5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계획된 우연이라는 생애 사건을 만난 연구참여자의 변화 욕망의 근원을 탐색하고, 그들이 찾은 가치 탐구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5인의 인터뷰 자료를 분석하여 그들의 전환 과정에 나타난‘변화 욕망’을 분석하고 변화와 성장을 살펴봄으로 평생교육과의 연관관계를 탐색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연적 사건’이라는 타자와의 관계에서 형성된 본질적인‘욕망’은 꿈에 대한 도전으로 자신의 길을 만드는 새로운 시작이자 행위 에너지 발견을 의미하는‘변화 욕망’이라 할 수 있으며, 경험에 대한 사유, 직업 전환 과정에서 나타난 반성적 성찰, 새로운 학습 참여는 성장을 촉진한다. 둘째, ‘우연적 사건’은 ‘삶의 전환’요인으로 그들의 도전은 능력과 역량 개발, 변화와 성장을 이끄는 동력으로, 주어진 환경에서 자기격려와 인지적 전략을 세우고 사건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목적의식으로 나타났다. 직업 전환을 통해 상황을 거시적으로 보는 안목과 자신을 바라보는 힘을 키우고, 자신의 직업에 대한 목표와 정체성을 찾아가게 하였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그들은 자신만의 문화와 신념의 중심을 만들고 타인을 인식하고 동반 성장을 위한 역할에 의미를 부여하며, 새로운 가치를 만들기 위해 자의적으로 학습을 선택하였다. 인간은 다양한 환경 속에서 행복한 삶을 이루기 위해 변화를 모색하며 개방적이고 더욱 성숙한 접근방법으로 내적 변화를 추구한다. 이러한 내적 변화를 돕는 전환학습은 성인 학습에서 의미가 크다. 또한, 새로운 삶의 전환을 끊임없이 모색하며 나타나는 끊임없는 학습 욕망을 이루기 위한 학습 참여는 평생교육적 가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ource of the participants desire to change when they meet a life event called planned coincidence and to explore the value they seek. By analyzing the interview data of five people, the‘desire for change' that appeared in their conversion process was analyzed, and the relationship with lifelong education was explored by examining change and growth. First, the essential‘desire' formed in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called ‘accidental event' is a challenge to dreams. It can be said to be a‘desire for change', which means a new start to creating a path and discovering action energy. Reasons for experience, reflective reflection in the process of job transition, and participation in new learning promote growth. The second factor of‘life transition' is‘accidental event'. Their challenges are the driving forces that lead to ability, competency development, change and growth, and it was found that they established self-inspection and cognitive strategies in a given environment, and established a sense of purpose by looking at events positively. Job transition fosters a macroscopic eye and the power to look at oneself, and allows them to find goals and identities for their jobs. In addition, they make their own culture and beliefs, recognize others, attach meaning to the role for shared growth, establish a sense of purpose, and arbitrarily choose learning to create new values. Humans seek change to achieve happy lives in various environments and pursue internal change with open and more mature approach. In short, transitional learning that helps inner change is significant in adult learning. In addition, participation in learning to achieve the constant learning desire that appears by constantly seeking a new life transition has lifelong educational valu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생인권과 교권은 상충되는가? : 아동학대 관련 판례를 중심으로
- ‘교육활동 방해 학생의 치료권고 및 분리, 제지’와 ‘학교인권법’에 관한 연구
- 한·중·일 초·중·고교 교원 보수제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