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평생교육체제 단과대학 성인학습자의 비교과 지원 역량에 대한 요구분석

이용수  469

영문명
Competency of Adult Learners at Lifelong Education System of University
발행기관
한국교육컨설팅코칭학회
저자명
김인숙(Insook Kim)
간행물 정보
『교육컨설팅코칭연구』제6권 제2호, 5~2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LiFE 사업)에 참여하는 평생교육체제 단과대학 내 성인학습자의 비교과 지원 역량에 대한 요구분석에 따른 지원 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요구분석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t검정, The Locus for Focus 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 전체에서 비교과 지원 역량에 대한 현재 실행도와 미래 필요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미미하게 나타났으며, 최우선 순위는 생애역량, 기초학습 역량, 융합 및 창업역량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학습자 연령별로 20대와 60대는 생애역량, 문제해결 및 진로개발이 최우선 순위로 나타났고, 30대와 50대는 기초학습 역량이 최우선 순위로 나타났으며, 40대는 융합 및 글로컬역량과 융합 및 창업역량이 최우선 순위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별로 건설환경융합공학과는 생애역량과 기초학습역량, 스포츠복지학과는 기초학습 역량과 학습역량, 복지·경영학과는 융합 및 창업역량, 스마트전기에너지공학과는 융합 및 글로컬역량이 최우선 순위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평생학습체제 단과대학의 성인학습자 비교과 지원 역량을 위한 시사점을 몇 가지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체제 단과대학 성인학습자의 요구에 맞는 성인친화형 비교과 지원 방안을 도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의 평생학습체제 사업 운영 대학교에서 성인학습자 요구에 맞는 비교과 프로그램 지원을 위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upport strategies according to extra-curricular program with needs analysis of adult learners in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participating in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support project of university.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for demand analysis,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e t-test and the The Focus for Focus model are as follows. First, among all adult learners, the priority of comparative and support competencies was in the order of life competency, basic learning competency, convergence, and start-up competency. Second, by age of adult learners, those in their 20s and 60s showed life competency as the top priority, those in their 30s and 50s showed basic learning competency as the top priority, and those in their 40s showed convergence and global competency as the top priority. Third, by major, life and basic learning capabilities of the construction environment convergence engineering department, basic learning capabilities and learning capabilities of the sports welfare department, convergence and start-up capabilities of the welfare management department, and smart energy engineering were the top areas.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ability to support adult learners in the college's lifelong learning system department were deriv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rived an adult-friendly comparative department support plan that meets the needs of adult learners in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useful data for supporting comparative programs tailored to the needs of adult learners at universities operating the university lifelong learning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인숙(Insook Kim). (2022).평생교육체제 단과대학 성인학습자의 비교과 지원 역량에 대한 요구분석. 교육컨설팅코칭연구, 6 (2), 5-26

MLA

김인숙(Insook Kim). "평생교육체제 단과대학 성인학습자의 비교과 지원 역량에 대한 요구분석." 교육컨설팅코칭연구, 6.2(2022): 5-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