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XP-SWMM 모형을 이용한 산지 도시지역 내수재해 저감을 위한 연구
이용수 16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solution of Inundation Accidents in Urban Areas in the Mountainous Area Using XP-SWMM Model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7 No.9, 69~7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상습침수구역이자 산지 도시지역인 강원도 평창군 하진부지구에 XP-SWMM모형을적용하여 빈도별 내수재해를 모의하고 원인 분석 및 내수재해 해소방안을 제시하였다. 강원도 평창군 하진부지구에 침수해석을 모의한 결과 방재성능목표 강우량뿐만 아니라 저빈도 강우사상에서도중⋅하류 관로에서 월류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내수재해를 저감하기 위해 우수관로개선방안과 배수펌프장 신설 방안에 대해 모의하였으며 적합한 해소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수관로개선에 따른 모의결과 침수면적은 54%가 저감되고, 침수심은 26%가 저감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우수관로 개선만으로는 중⋅하류에 발생하는 월류를 해소하기 어려움이 있어 추가 방재시설물을 설치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우수관거 개선 및 배수펌프장 신설을 모의한 결과 목표 저감량 전량을 해소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내수재해를 저감하기 위한 치수계획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XP-SWMM model was applied to Hajin-bu district in Pyeongchang-gun, Gangwon-do, which is a habitual inundation zone and mountainous area, and the inundation disasters were simulated by frequency and the cause analysis and the solution of domestic disasters were suggested. As a result of simulating inundation analysis in the Hajin district of Pyeongchang-gun, Gangwon-do, it was found that overflow occurred in the middle and down stream pipeline as well as the rainfall target for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In order to reduce the inundation disaster, the improvement plan of the rainwater pipeline and the new drainage pumping station were simulated and appropriate solutions were presented. As a result of simulations following improvement of rainwater pipeline, the inundation area was reduced by 54% and the inundation depth was reduced by 26%. However, it was found that improvement of rainwater pipeline alone had difficulty in solving the overflow in the middle and downstream. As a result of simulating the improvement of rainwater pipeline and the establishment of a drainage pumping station, it was found that the total amount of target reduction can be solved.
목차
Ⅰ. 서론
Ⅱ. 모형의 개요
Ⅲ. 연구대상지역 특성분석
Ⅳ. 모형의 적용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Improving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Capability of Government by Using Big Data Technology: China’s Response to the COVID-19
- 홍수기 농경지 침수 피해 분석
- 고용위기 시대 한국기업 임금체계 실행 고찰
-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
- 지방자치단체의 신종 감염병 대응사례에 관한 연구
- RWM을 활용한 토석류 피해예측지도의 사방댐 효과 적용 가능성 검토
- 한국 시민의 유전자가위 기술에 관한 태도와 시사점
- XP-SWMM 모형을 이용한 산지 도시지역 내수재해 저감을 위한 연구
- Changes in Perception of Cultural Diversity in COVID-19 Era
- 경기도 광주지역의 극한강우 사상을 고려한 산사태위험도 분석
- Crisisonomy Vol.17 No.9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