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Improving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Capability of Government by Using Big Data Technology: China’s Response to the COVID-19
이용수 10
- 영문명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7 No.9, 19~3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way how to use big data to improve the government’s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capability to respond to public health crises and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scientific application of big data analysis. This study classifies the specific manifestations of big data during the COVID-19 epidemic, and analyzes the advantages of using big data. Using big data to improve the government’s crisis management capabilities is mainly reflected in the following aspects: advancement of precision in response to the epidemic; promotion of the government’s internal and external cooperation; enhancement of the ability to respond to internet public opinion; promotion of the transformation of public decision-making from traditional experience to intelligent and scientific. In order to better integrate big data with public crisis governance, this study is concluded with a discussion of suggestions: improvement of big data application capabilities; enhancement of big data governance; people-oriented and paying attention to internet public opinion; innovation of public decision-making methods for big data governance.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The Specific Manifestations of Big Data during the COVID-19 Epidemic
Ⅳ. How to Use Big Data for Improving the Government’s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Capability during the COVID-19 Epidemic
Ⅴ. Future Directions: Big Data for COVID-19
Ⅵ. Conclusion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Improving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Capability of Government by Using Big Data Technology: China’s Response to the COVID-19
- 홍수기 농경지 침수 피해 분석
- 고용위기 시대 한국기업 임금체계 실행 고찰
-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
- 지방자치단체의 신종 감염병 대응사례에 관한 연구
- RWM을 활용한 토석류 피해예측지도의 사방댐 효과 적용 가능성 검토
- 한국 시민의 유전자가위 기술에 관한 태도와 시사점
- XP-SWMM 모형을 이용한 산지 도시지역 내수재해 저감을 위한 연구
- Changes in Perception of Cultural Diversity in COVID-19 Era
- 경기도 광주지역의 극한강우 사상을 고려한 산사태위험도 분석
- Crisisonomy Vol.17 No.9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