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간호근무환경이 노인 간호실천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05
- 영문명
-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n Geriatric Nursing Practices of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A Cross-Sectional Study
- 발행기관
- 한국노인간호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노인간호학회지』제24권 제2호, 123~13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geriatric nursing practices in nurses working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81 nurses from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across five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6 to August 06, 2021.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average age of nurses who work in th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was 31.74±7.51 years, total clinical experience was 8.03±6.67 years, and average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experience was 2.03±1.28 years. Geriatric nursing practice was influenced by communication ability (β=.30, p<.001), nursing working environment (β=.24, p=.001), and total clinical experience (β=.22, p=.001). The explanatory power was 21.9% (F=17.83, p<.001, Adj. R2=.22).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geriatric care is expected to develop if nurses’ work environment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improve and communication skills are trained. Therefore, it is demanded to organize an efficient working space for nurses and educational program that advances communication for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providers.
목차
서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요양병원 간호사의 생애말 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
- 인지기능 저하 노인을 돌보는 가족 돌봄인의 소셜로봇 사용 효과성 평가
- 간호대학생의 가상 시뮬레이션 및 하이브리드 시뮬레이션 노인간호실습 교육 경험: 혼합연구방법
- 건강보험 청구자료분석을 통한 요양시설과 요양병원 노인의 급성기병원 입원 및 사망의 관련 요인
- Care Workers’ Experiences of Emergencies with Korean Older Adults: A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 요양병원에 거주하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수면의 질 관련요인
- 치매 환자 가족의 교육용 가상현실 기기 사용 관련 특성 및 선호도
- 한국형 치매 환자의 통증 사정 도구 개발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간호근무환경이 노인 간호실천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