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건강보험 청구자료분석을 통한 요양시설과 요양병원 노인의 급성기병원 입원 및 사망의 관련 요인
이용수 170
- 영문명
- Factors Associated with Acute Hospitalizations and Mortality of Older Adul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Long-Term Care Hospitals: A Population-Based, Pubic-Insurance Big-Data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노인간호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노인간호학회지』제24권 제2호, 162~173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amined individual, institutional, and regional factors associated with 90-day acute hospital- izations and 1-year mortality among older people admitted to long-term care facilities (LTCFs) and long-term care hospitals (LTCH) in Korea. Methods: We analyze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s (NHIS) Elderly Cohort Database linked with regional statistics. The sample included 13,839 LTCF residents and 23,962 LTCH patients.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Results: The risk for 90-day acute hospital admiss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eing male and having comorbidities among both LTCF residents and LTCH patients. Being 80+ years old and having a severe case-mix (LTCF grade 1/LTCH groups A1 & 2)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acute hospitalizations among LTCF residents, but the relationships were negative among LTCH patients. People in urban LTCFs and/or those in facilities located in regions with a higher physician supply had lower acute hospitalizations. The risk for 1-year mortality after LTCF or LTCH admiss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eing an old male, having a severe case-mix, and comorbidities. Among institutional factors, public ownership for LTCFs and being a larger size for LTCHs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mortality. Conclusion: This health and long-term care big data analysis showed various factors influenced adverse health outcomes among older Koreans receiving institutionalized long-term care, and the patterns of the relationships were different for LTCFs and LTCHs.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eded into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complex dynamics among the multi-level determinants of acute care utilization and mortality by institution type.
목차
서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요양병원 간호사의 생애말 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
- 인지기능 저하 노인을 돌보는 가족 돌봄인의 소셜로봇 사용 효과성 평가
- 간호대학생의 가상 시뮬레이션 및 하이브리드 시뮬레이션 노인간호실습 교육 경험: 혼합연구방법
- 건강보험 청구자료분석을 통한 요양시설과 요양병원 노인의 급성기병원 입원 및 사망의 관련 요인
- Care Workers’ Experiences of Emergencies with Korean Older Adults: A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 요양병원에 거주하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수면의 질 관련요인
- 치매 환자 가족의 교육용 가상현실 기기 사용 관련 특성 및 선호도
- 한국형 치매 환자의 통증 사정 도구 개발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간호근무환경이 노인 간호실천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