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지기능 저하 노인을 돌보는 가족 돌봄인의 소셜로봇 사용 효과성 평가
이용수 351
- 영문명
-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Social Robot by Family Caregivers Nursing for the Older Adult with Cognitive Impairmen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발행기관
- 한국노인간호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노인간호학회지』제24권 제2호, 142~150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social robots. When social robots are used by older adults with cognitive impairment, whether the care burden of family caregivers with cognitive impairment decreased, and if there is a change in personal and role strain.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 examine the reduction in care burden (role strain, personal strain) of 27 family caregivers under the age of 60 after having older people with cognitive impairment use social robots at home for 6 weeks. For analysis, the Mann-Whitney U-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26.
Results: The pre-post survey result presented that care burde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Z=-0.699, p=.485). Role strain, one of the sub-questions of care burden, presen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effect in the experimental group (Z=-2.031, p=.042).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personal strain in both group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cessity of providing information reflecting the needs of family caregivers using social robots. In addition, the results present a way to respond to emergencies utilizing social robots’ monitoring functions and reduce family caregivers’ care burdens by offering services such as counseling and self-help groups. Furthermore, related organizations must educate formal and informal care workers on social robots.
목차
서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요양병원 간호사의 생애말 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
- 인지기능 저하 노인을 돌보는 가족 돌봄인의 소셜로봇 사용 효과성 평가
- 간호대학생의 가상 시뮬레이션 및 하이브리드 시뮬레이션 노인간호실습 교육 경험: 혼합연구방법
- 건강보험 청구자료분석을 통한 요양시설과 요양병원 노인의 급성기병원 입원 및 사망의 관련 요인
- Care Workers’ Experiences of Emergencies with Korean Older Adults: A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 요양병원에 거주하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수면의 질 관련요인
- 치매 환자 가족의 교육용 가상현실 기기 사용 관련 특성 및 선호도
- 한국형 치매 환자의 통증 사정 도구 개발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간호근무환경이 노인 간호실천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