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가상 시뮬레이션 및 하이브리드 시뮬레이션 노인간호실습 교육 경험: 혼합연구방법
이용수 251
- 영문명
-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f Virtual and Hybrid Simulation in Gerontological Nursing: A Mixed-Methods Study
- 발행기관
- 한국노인간호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노인간호학회지』제24권 제2호, 185~19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who took a clinical practicum in geriatric nursing through virtual and hybrid simulation. Methods: The study employed a mixed-method design. Participants in quantitative research were 94 nursing students (Virtual simulation group: 45, Hybrid simulation group: 49).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4 focus groups (7 students per group).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x2 and t-test with SPSS/WIN 23.0.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hybrid simulation group had significantly more interest in gerontological nursing (t=10.45, p=.002), sharing opinions (t=6.93, p=.010), and recognition of one's own strengths and weaknesses (t=15.90, p<.001) than the virtual simulation group. The two simulation training experiences were shown in five themes: (1) space and relationship, (2) role differences as learners, (3) higher-order thinking skills, (4) embodied knowledge by acquisition, and (5) differences in perspectives on patients. Overall, the learn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hybrid simulation was reported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virtual simulatio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n effective method for nursing practice for older adults by comparing the experience of virtual simulation and hybrid simulation methods in clinical practice of gerontological nursing.
목차
서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요양병원 간호사의 생애말 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
- 인지기능 저하 노인을 돌보는 가족 돌봄인의 소셜로봇 사용 효과성 평가
- 간호대학생의 가상 시뮬레이션 및 하이브리드 시뮬레이션 노인간호실습 교육 경험: 혼합연구방법
- 건강보험 청구자료분석을 통한 요양시설과 요양병원 노인의 급성기병원 입원 및 사망의 관련 요인
- Care Workers’ Experiences of Emergencies with Korean Older Adults: A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 요양병원에 거주하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수면의 질 관련요인
- 치매 환자 가족의 교육용 가상현실 기기 사용 관련 특성 및 선호도
- 한국형 치매 환자의 통증 사정 도구 개발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간호근무환경이 노인 간호실천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