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dustrial Relations in Japan during the High Economic Growth Period
- 발행기관
- 한일경상학회
- 저자명
- 김삼수(Sam Soo Kim)
- 간행물 정보
- 『한일경상논집』제55권, 3~2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5.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Labour relations in Japan were very unstable and even hostile in the immediate Postwar period. There were so many cases where even the right to manage was not secured in that period. It is trough the period of economic high growth, from 1955 to 1973, that industrial relations was drastically stabilized. A lot of large scale and prolonged labour disputes occurred in the process of stabilization. One of the distinct characteristic of Japanese industrial relations has been enterprise-based union.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formation process of ``stable and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during the high economic growth period. It investigates into the formation process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ost-war enterprise unionism which resulted directly from the collapse of ``the cross-enterprise industrial union movement`` and shop floor struggle(``Shokuba-Toso``) shop in the 1950`s and 60`s. In particular, functions of enterprise union and its changes are discussed under the theoretical framework in which the concept of ``joint consultation`` is to be differentiated from that of ``collective bargaining``.
목차
Ⅰ. 서론
Ⅱ. 집단적 노사관계정책과 일경연의 노사관계 구상
Ⅲ. 산업별 조합운동의 좌절과 기업별 조합체제의 성립
Ⅳ. 춘투의 기능과 한계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더보기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고성과작업시스템이 집단적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복수노조가 미치는 조절 효과의 시사점
- 리더-구성원 간 목표상호의존성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몰입과 창의적행동,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번트리더십의 조절효과
- 잡크래프팅과 직무소진의 관계: 접근·회피 잡크래프팅의 상호작용과 경력단계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