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中国山东省传统黑陶相关研究
이용수 2
- 영문명
- Research on Traditional black pottery in Shandong Province of China
- 발행기관
- 한국도자학회
- 저자명
- 류언총(刘 彦聪 )
- 간행물 정보
- 『한국도자학연구』한국도자학연구 Vol.16 No.2, 115~13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산동은 흑도의 중요 발원지이다. 산동흑도는 전형적인 생활 도자기의 특징뿐만 아니라 지역적 특성이드러나는 문화적 특색을 나타낸다. 지리적 환경에서 민간 문화의 영향 하에 산동의 전통 흑도는 서로 다른 구역별 발전 특징을 형성하였다. 본 연구는 산동성 전통흑도의 발전사 와 공예적 특징, 제작 기법, 발전 과정 등의 방면에서 나타나는 산동 전통 흑도에 대한 특징 및 예술의 양식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산동 흑도는 그 지역성의 영향을 받아 발전 및 변화하여 크게 일조흑도(日照黑陶)와 덕주흑도(德州黑陶)라는두 체계로 분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양자의 발전사 안에서 통상적으로도 제작기법 및 장식성, 심미성 등 일정한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장식에 있어서 산동 흑도는 용산문화(龍山文化) 특유의장식 특징 및 조물사상을 보존하면서도 동시에 현대 장식 예술의 창의적이고 새로운 사유 이념을 드러내고 있다.
영문 초록
As an important birthplace of black pottery, Shandong black pottery not only has typ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life pottery, but also has regional cultural characteristics. Under the influence of geographical environment and human factors, the traditional black pottery in Shandong has formed different regional development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the style and artistic features of Shandong traditional black pottery are analyzed from the aspects of development history, process characteristics, production methods and development trend. Finally,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show that Shandong black pottery derives two major systems represented by Rizhao black pottery and Dezhou black pottery under the influence of regional characteristics.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m in the aspects of development history, craftsmanship, decorative techniques and aesthetic ideas. In terms of decorative style, it not only retains the unique decorative features and creational ideas of Longshan culture, but also embodies the innovative ideas of modern decorative art.
作为黑陶的重要发源地,山东黑陶不仅具有典型的传统生活陶器特征,并且具有浓重的地域性 文化特色。在地理环境、人文因素的影响下,山东的传统黑陶形成不同的区域性发展特征。本 文从发展历史、工艺特征、制作技艺、发展趋势等方面来对山东传统黑陶的风格特点及艺术风 貌作概要性分析认为,山东黑陶受地域性影响衍化出以日照黑陶和德州黑陶为代表的两大体 系,二者在发展历史、工艺技法、装饰手法、审美思想等方面存在一定差异性。在装饰风格 上,既保留了龙山文化特有的装饰特点及造物思想,也体现出现代装饰艺术的创新思维理念。
목차
摘要
Abstract
Ⅰ. 绪论
Ⅱ. 本论
Ⅲ. 结论
参考文献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주점토와 스코리아(Scoria)를 활용한 옹기소지(素地)개발 연구
- 기하학적 유닛의 결합으로 표현한 작품 연구
- 2015 개정 교육과정 3-6학년 초등미술교과서 도자기 참고작품 분석 및 제언
- 中国汉朝动物陶瓷造型研究
- 조선후기 철화백자와 회화에 나타난 화조문양의 조형성 연구
- 中國磁州窯和韩国粉青沙器技法比较研究
- 中国山东省传统黑陶相关研究
- 공예 트렌드 페어 역사와 작품 분석을 통한 현대 도예의 흐름과 전망
- 도자기 소지로서 국내외 고령토 광물의 물성
- 中國北宋时期刻花青白瓷研究
- 한국도자학회 정관 외
- 김해시<거리의 독립기념관> 환경도자벽화 제작 연구
- 中国宋代陶瓷雕刻技法在现代的表现研究
- 영국 스튜디오 도자의 태동과 전개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