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中國北宋时期刻花青白瓷研究
이용수 4
- 영문명
- Study on the carving of green and white porcelain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of the Song Dynasty in China
- 발행기관
- 한국도자학회
- 저자명
- 방몽기(方夢琪) 김혁수(金赫洙)
- 간행물 정보
- 『한국도자학연구』한국도자학연구 Vol.16 No.2, 241~26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송나라(AD.960-1279)의 여러 자기(磁器)제작 가마 중에서 경덕진(景德鎭)을 중심으로 하는 청백자(靑白磁)가마는 역사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북송(北宋)시기(AD.960-1127)에는 품질이 우수한 호전요(湖田窯)청백자가 성공적으로 번조(燔造)되었다. 형태와 조각은 정교하고 아름다우며, 자태(磁胎)는얇고 몸체는 가벼웠다. 유약의 질감은 옥처럼 부드럽고, 유색(釉色)은 우아하였으며 선각 무늬 장식은유연하고 변화가 많았다. 이 시기에 선각 장식은 역사가 유구한 전통 수공예 기법으로 끊임없이 변화하고생산되었으며, 송나라 도자 장식의 대표적인 형식이 되었다. 특징은 도법(刀法)이 간결하고 생동감이 있으며, 선은 굳세고 힘이 있으며 다양하게 변화하므로 자연스러우며 소박하고 독특한 그 당시의 도자예술을 잘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는 북송 시기 선각 청백자의 역사적 고찰·공예적 특색의 소개·미학 사상의 연구 등 3가지 측면을 통해서 다각적으로 탐구하여, 선각 기법과 장식이 현대 도자기에서 활용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혁신적인 공예 기술과 예술 표현 형식으로 현대 청백자 예술은 신세대적인 특징을 지니게 되었고, 현대 생활에 새로운 인문학적 가치를 나타내고 있다.
영문 초록
Among the many kiln systems of the Song Dynasty (AD.960-1279), the Qingbai porcelain kiln system centered on Jingdezhen is especially famous.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AD.960-1127),the high-quality Hutian kiln green white porcelain was successfully fired, the shape was exquisite and translucent, the tire was thin and light, the enamel was warm and jade, the glaze was soft and elegant, and the embossed decoration was flexible and diverse. During this period, carved decoration as a long-established traditional handicraft technique, constantly developed and innovated and became one of the main forms of decoration in the Song Dynasty. The knife method is simple and interesting, and the lines are flexible and changeable, forming a natural and simple artistic feature. Through the historical investigation of the engraved blue-white porcelain in the Northern Song Dynasty, the analysis of the craft features and aesthetics, this paper explores the usage of engraving techniques and decoration in modern ceramics. Innovative craftsmanship and artistic expressions make modern blue and white porcelain ar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 new era, and also inject new human values into modern life.
在宋代( AD. 960-1279)的众多窑系中,以景德镇为中心的青白瓷窑系尤为著名。北宋时期 (AD.960-1127)优质的湖田窑青白瓷得以成功烧制,造型玲珑剔透,胎薄体轻,釉质温润如玉,釉色柔和淡 雅,刻花纹饰灵活多样。这一时期,刻花装饰作为一门历史悠久的传统手工艺技法,不断发展创新并成为 宋代装饰的主要形式之一。其刀法简洁有趣,线条灵活多变,形成自然淳朴、独特的艺术特色。 本文通过对北宋刻花青白瓷的历史性考察、对工艺特色和美学思想进行分析,从而对刻花技法和装饰 在现代陶瓷中的活用法进行深入探讨。创新的工艺技术和艺术表现形式使得现代青白瓷艺术具有新时代的 特色,也为现代生活注入新的人文价值。
목차
摘要
Abstract
Ⅰ 绪论
Ⅱ 本论
Ⅲ. 结论
參考文獻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주점토와 스코리아(Scoria)를 활용한 옹기소지(素地)개발 연구
- 기하학적 유닛의 결합으로 표현한 작품 연구
- 2015 개정 교육과정 3-6학년 초등미술교과서 도자기 참고작품 분석 및 제언
- 中国汉朝动物陶瓷造型研究
- 조선후기 철화백자와 회화에 나타난 화조문양의 조형성 연구
- 中國磁州窯和韩国粉青沙器技法比较研究
- 中国山东省传统黑陶相关研究
- 공예 트렌드 페어 역사와 작품 분석을 통한 현대 도예의 흐름과 전망
- 도자기 소지로서 국내외 고령토 광물의 물성
- 中國北宋时期刻花青白瓷研究
- 한국도자학회 정관 외
- 김해시<거리의 독립기념관> 환경도자벽화 제작 연구
- 中国宋代陶瓷雕刻技法在现代的表现研究
- 영국 스튜디오 도자의 태동과 전개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