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판적 사고성향, 의사소통능력, 간호전문직관이 신규간호사의 근거기반실무 역량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184
- 영문명
- The Effec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mmunication Abilit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on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es of New Nurses
- 발행기관
- 한국간호연구학회
- 저자명
- 조은희(Eun Hee, Jo) 황순정(Soon Jung, Hwang) 김신희(Shin Hee,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간호연구학회지』제6권 제1호, 67~7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level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mmunication abilit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among new nurses. Methods :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was conducted with 135 new nurses who graduated after a 4-year course from the Department of nursing. Data analysis,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3.0. Results : The variables affecting evidence-based practice competency were evidence-based practical education experi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nursing professionalism.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new nurses’ competency of evidence based practice wa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β=.32, p=.001), followed by nursing professionalism (β=.31, p=.001) and evidence-based practical education experience (β=.19, p=.018) which together explained their competency of evidence based practice up to 26.0%.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introduction and activation of evidence based practice competency is essential for new nurses graduating from a 4-year college,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and create an organizational culture to strengthen critical thinking tendencies, nursing professionalis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방법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용태도가 인공지능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남녀 재가 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 이용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 능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상급종합병원 현장교육간호사, 병동 수간호사, 프리셉터 간 현장교육간호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및 협력인식 비교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